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672

천적에 비교적 안전한 농약 해충의 종류는 아주 많으며, 종류에 따라 사용하는 농약도 다르기 때문에 해충 종류별 어떤 농약을 사용해야 하나 알아야 한다. 다음 표는 우리나라에 농작물에 발생하는 중요한 해충별로 방제할 수 있는 농약 중에서 천적 등 다른 생물에 영향을 덜 주는 환경 친화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2013. 8. 12.
배추 모종에 큰 피해를 주는 벼룩잎벌레 방제 벼룩잎벌레 는 배추, 무 등 십자화과 작물의 모종에 발생하여 크게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이 해충에 피해를 받은 배추잎은 구멍이 뚫리며 심하면 잎이 거의 없을 정도까지 된다. 잎의 피해도 심하지만 실제 더 피해를 주는 것은 뿌리의 피해이다. 성충은 잎을 갉아 먹으며, 유충은 뿌리를.. 2013. 8. 10.
백두산과 북경 관광하면서 물건 사기 백두산과 북경 관광하면서 물건 사기 연변이란 이름은 많이 들었지만 연길(延吉)이란 이름 생소했다. 지도를 펴놓고 보니 함경도 북쪽에 있었다. 인구가 겨우 40만밖에 안 되는 소도시에 비행기가 뜬 다니 얼마나 많은 한국관광객이 찾는지 추측이 된다. 우리 민족의 뿌리라고 하는 백두.. 2013. 8. 10.
이언적의 무위 무위 李彦迪 만물은 늘 변해서 일정함이 없나니 이 한 몸 한가로와 절로 때를 따른다. 일 하려 애쓰는 힘 근래엔 차츰 줄여 푸른 산 늘 보면서 시도 짓지 않는다. 萬物變遷無定態 一身閑寂自隨時 만물변천무정태 일신한적자수시 年來漸省經營力 長對靑山不賦詩 년래점생경영력 장대청산.. 2013. 8. 10.
다산 정약용의 打麥行(보리타작) 打麥行 보리타작 新葤濁酒如潼白 새로 거른 막걸리 젖빛처럼 뿌옇고 葤: 꾸러미 주, 潼: 물이름 동, 끈적끈적할 종 大碗麥飯高一尺 큰 사발에 보리밥, 높기가 한 자로세 碗: 사발 완 飯罷取耞登場立 밥 먹자 도리깨 잡고 마당에 나서니 耞: 도리깨 가, 登場: 마당에 나가다. .. 2013. 8. 10.
돈암서원 양성당의 주련 양성당(養性堂)의 주련은 朱子敬霽箴(주자경재잠)을 써서 걸어놓았다. 이 글은 퇴계 이황을 배향하는 안동의 도산서원에도 주련으로 걸려있다. 주자(朱子)는 본당의 왼쪽에 있는 방을 경재(敬齋)라고 부르고, 오른쪽 방을 의재(義齋)라고 불렀다. 이 잠언은 주자가 지어 자신의 경재에 붙.. 2013. 8. 10.
충무공 교지 다음은 아산 현충사에서 본 충무공 교지이다. 충무공 교지 忠臣 (충신) 有明水軍提督 (유명수군제독): 명나라(?) 수군제독 朝鮮國 (조선국) 贈 (증) 증 하노라 效忠仗義迪毅協力宣武功臣 (효충장의적의협력선무공신) 效忠: 충성을 다하고 仗義: 의로운 것에 따르고 迪毅: 굳세게 나가고 協.. 2013. 8. 10.
경포대의 肅宗御製 漢詩 肅宗御製 漢詩 (한국향토문화 전자대전 강릉에서 발췌) 숙종[1661-1720]은 도화서 화원에게 지시하여 관동의 명승을 그림으로 그려오게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팔경을 추려내었는데, 숙종이 추려낸 8경은 통천의 총석정, 고성의 삼일포, 간성의 만경대, 양양의 낙산사, 강릉의 경포대, .. 2013. 8. 10.
도연명의 귀원전거 도잠 歸園田居 (其一) (귀원전거1) 陶潛(도잠) 전원으로 돌아와 (1) 少無適俗韻 :(소무적속운)어려서부터 세속과 어울리는 기풍이 없어, 性本愛丘山 :(성본애구산)성품은 본시 산언덕을 사랑하였는데, 誤落塵網中:(오락진망중)잘못하여 더러운 그물에 떨어진 채로, 一去三十年:(일거삼십년)삼십 .. 2013. 8. 10.
백두산 천지를 오르면서 延吉은 함경도 북쪽 끝에서 백여리여기가 길림성 연길조선족자치주이다.땅은 중국이지만 거기에는 조선 사람들이 있었다.우리는 해방 이후 과거로 묻어두고 잊혀져 버렸지만그들은 독립군의 후예답게 우리의 조상의 얼을 이어 가고 있었다그들은 88올림픽을 하면서 우리 한국을 알았으며소수민족 조선족으로 외로웠던 그들그 때 자랑스런 조국에 눈물을 흘렸다고 했다조선족이 우리의 안내자가 되어 우리는 민족의 영산 백두산으로 갔다꿈에 그리던 백두산을 나는 가고 있다조선족 자치주 연길을 떠나 백두산까지는 버스로 4시간 거리이다.백두산 가는 먼길이지만여행동안 중국의 자연과 사람 살아가는 모습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다.우마차, 조그만 택시, 초가집, 빨간 벽돌집도 이었고, 들판에는 곡식이 익어가고 있었다.휴게소의 정차는 화장실 용무.. 2013.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