歸園田居 (其一) (귀원전거1) 陶潛(도잠)
전원으로 돌아와 (1)
少無適俗韻 :(소무적속운)어려서부터 세속과 어울리는 기풍이 없어,
性本愛丘山 :(성본애구산)성품은 본시 산언덕을 사랑하였는데,
誤落塵網中:(오락진망중)잘못하여 더러운 그물에 떨어진 채로,
一去三十年:(일거삼십년)삼십 년이 단숨에 흘렀다.
羈鳥戀舊林:(기조연구림)갇힌 새는 옛 숲을 그리워하고,
池魚思故淵:(지어사고연)못 속 물고기는 옛 연못을 생각하는 법.
開荒南野際:(개황남야제)남쪽 들 언저리에서 황무지를 개간하며,
守拙歸園田:(수졸귀원전)졸박함을 지키러 전원으로 돌아왔다.
方宅十餘畝:(방택십여무)네모난 택지 십여 무,
草屋八九間:(초옥팔구간)초가집 팔구 간.
楡柳蔭後簷:(유류음후첨)느릅나무와 버드나무 뒷처마에 그늘을 지우고,
桃李羅堂前:(도리나당전)복사나무와 오얏나무 집 앞에 늘어서 있다.
曖曖遠人村:(애애원인촌)먼 마을 어슴프레한데,
依依墟里煙:(의의허리연)동네에선 연기가 하늘하늘 피어오른다.
狗吠深巷中:(구폐심항중)깊은 골목에서 개가 짖고.
鷄鳴桑樹顚:(계명상수전)뽕나무 꼭대기에서는 닭이 운다.
戶庭無塵雜:(호정무진잡)뜰에는 더럽거나 잡스러운 것이 없고,
虛室有餘閒:(허실유여한)빈 방에는 한가로움이 넘친다.
久在樊籠裏:(구재번롱리)오랫동안 새장 속에 있다가,
復得返自然:(부득반자연)다시 자연으로 돌아올 수 있게 되었음이여!
歸園田居 (其三) (귀원전거) 陶潛(도잠)
전원에 돌아와서(3)
種豆南山下(종두남산하) : 남산 밑에 콩을 심었으나
草盛豆苗稀(초성두묘희) : 풀만 무성하고 콩은 드물다
晨興理荒穢(신흥이황예) : 새벽에 일어나 잡초를 뽑고
帶月荷鋤歸(대월하서귀) : 한밤에 호미 메고 돌아오네
道狹草木長(도협초목장) : 길은 좁고 풀이 무성하여
夕露沾我衣(석로첨아의) : 저녁 이슬에 옷이 젖는구나
衣沾不足惜(의첨부족석) : 옷이 젖는 것은 애석치 않으니
但使願無違(단사원무위) : 다만 내 소망이 어그러지지 않기를
歸園田居 (其四) (귀원전거) 陶潛(도잠)
전원에 돌아와서(4)
久去山澤遊(구거산택유) : 오랫동안 산과 못에 가서 노니
浪莽林野娛(낭망임야오) : 넓은 숲과 들판을 즐기니 눈물이 흐른다
試携子姪輩(시휴자질배) : 자식과 조카들 이끌고
披榛步荒墟(피진보황허) : 잡목 헤치고 지나니 황폐한 옛 집터가 보인다
徘徊丘壟間(배회구롱간) : 언덕사이를 배회하여 보니
依依昔人居(의의석인거) : 옛날 살았던 사람들이 그립다
井灶有遺處(정조유유처) : 우물과 부뚜막의 자리가 남아있고
桑竹殘朽株(상죽잔후주) : 뽕과 대나무의 썩은 그루 남아 있네
借問採薪者(차문채신자) : 길 가는 나무꾼에게 묻노니
此人皆焉如(차인개언여) : 이곳 살던 사람들 다 어디갔소 하니
薪者向我言(신자행아언) : 나무꾼이 나를 보고 말 하기를
死沒無復餘(사몰무부여) : 다 죽고 하나도 안 남았소
一世異朝市(일세이조시) : 한 세대 안에 도회지가 없어진다는
此語眞不虛(차어진불허) : 이 말이 참으로 빈 말이 아니로다
人生似幻化(인생사환화) : 인생은 허깨비와 같아서
終當歸空無(종당귀공무) : 끝내 空虛한 無로 돌아가야 하는 것이네.
歸園田居 (其五) (귀원전거) 陶潛(도잠)
전원에 돌아와서(5)
悵恨獨策還(창한독책환) : 한탄하며 홀로 지팡이 짚고 돌아오는데
崎嶇歷榛曲(기구역진곡) : 험하고 잡초 우거진 산길 지나왔다
山澗淸且淺(산간청차천) : 산골짝에 물은 맑고 얕아
遇以濯吾足(우이탁오족) : 내 발을 씻을 만 하네
漉我新熟酒(녹아신숙주) : 새로 갓 익은 술 걸르고
隻雞招近局(척계초근국) : 한 마리 닭으로 이웃을 불러왔다
日入室中闇(일입실중암) : 해 지고 방안 어두워
荊薪代明燭(형신대명촉) : 싸리나무에 불 붙여, 밝은 촛불 대신하네
歡來苦夕短(환내고석단) : 기쁨이 찾아드나 밤이 짧아 괴롭더니
已復至天旭(이복지천욱) : 어느 새 또 하늘에 아침 해가 뜨는구나.
歸園田居 (其六) (귀원전거) 陶潛(도잠)
전원에 돌아와서 (6)
種苗在東皐(종묘재동고) : 동 쪽 언덕에 살면서 곡식 씨앗을 뿌리니
苗生滿阡陌(묘생만천맥) : 싹이 자라 둔덕에 가득하다
雖有荷鋤倦(수유하서권) : 호미 메고 김매기기 진저리나기도 하지만
濁酒聊自適(탁주료자적) : 막걸리 한잔에 즐겁기만 하다
日暮巾柴車(일모건시거) : 날이 저물어 나무한 수레를 덮으니
路暗光已夕(노암광이석) : 길은 어둑하여 이미 저녁이 되었구나
歸人望煙火(귀인망연화) : 돌아가는 사람들은 저녁연기와 불빛을 바라보고
稚子候簷隙(치자후첨극) : 아이들은 처마 밑에서 기다린다
問君亦何爲(문군역하위) : 그대에게 묻노니, 또한 무엇을 하려는가?
百年會有役(백년회유역) : 일생에 반드시 할 일이 있을 것이네
但願桑麻成(단원상마성) : 바라기는, 뽕나무와 삼나무가 잘 자라고
蠶月得紡績(잠월득방적) : 누에치는 달에 길쌈을 할 수 있었으면
素心正如此(소심정여차) : 원래 마음 이와 같이 소박하니
開徑望三益(개경망삼익) : 좁은 길 열어놓고 좋은 벗 기다린다
'한문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무공 교지 (0) | 2013.08.10 |
---|---|
경포대의 肅宗御製 漢詩 (0) | 2013.08.10 |
추사고댁의 주련 춘풍대아 (0) | 2013.08.03 |
강진 무위사와 이언적의 무위(無為) (0) | 2013.08.03 |
창덕궁 후원 옥류천 (0) | 2013.08.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