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상식84

임진왜란 431주년 온양방씨 제1회 학술대회, '임진왜란 전후 온양방씨 일문의 구국활동' 개최 온양방씨중앙종친회(회장 방열)는 임진왜란 431주년 온양방씨 제1회 학술대회를 '임진왜란 전후 온양방씨 일문의 구국활동' 주제로 11월 3일 12시 30분부터 17시 30분까지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 29 전쟁기념관 1층 이병형홀에서 200여 명의 온양방씨 일가와 시민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했다. 제1부 축하공연과 개회식, 제2부 주제발표, 제3부 지정토론 순으로 진행되었다. 제1부 축하공연은 첫 번째 이순신 장군의 장인 방진(方震)의 생애를 기리는 를 소리 윤경숙, 대금 이석희, 장구 문상훈이 소리와 연주를 했다. 두 번째 방영기 외 7인이 우리나라의 산수, 사찰, 지리 등을 찬하는 을 불렀다. 세 번째 정광빈 외 3인이 우정의 노래, 선구자, 오 솔레미오를 불렀다. 개회식은 국기에 경례, 애국가, 순국선.. 2023. 11. 3.
'임진왜란 전후 온양방씨 일문의 구국 활동' 학술대회 개최 온양방씨중앙종친회)회장 방열)와 학술대회준비위원회(위원장 방성석)이 주최하고 성균관, 한국성씨총연합회, 덕수이씨충무공파종회, (사)이순신리더십연구회, (사)서울문화사학회, 이순신을 배우는 사람들 다음카페, 독립유공애국지사유족회가 후원하는 온양방씨 제1회 "임진왜란 전후 온양방씨 일문의 구국 활동" 학술대회가 11월 3일 12시 30분부터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 29 전쟁기념관 1층(이병형홀)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제1부에서는 축하공연 및 개회식, 제2부 주제발표, 제3부 지정토론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제2부에서 주제1은 정호완 대구대학 명예교수가 "유학의 종주, 월봉 방지(方智) 선생의 공적과 과제", 주제2은 이민웅 해군사관학교 명예교수가 "16세기 전반 조선의 비변책과 방륜(方輪), 방호의(方好義) 일.. 2023. 10. 20.
수원지기학교, 2023 경기 다크투어 ‘잊혀진 역사와 마주하는 여행’ 참가자 모집 수원지기학교(교장 신영주)는 “9월 10일(일) 09시부터 17시 30분까지 양평군 일원에서 2023 경기 다크투어(dark tour) ‘잊혀진 역사와 마주하는 여행’을 진행한다”라고 밝혔다. 수원지기학교가 주관하고, 경기문화재단 후원, 민족문제연구소의 협력으로 진행되는 이번 프로그램은 경기도 양평군 일원의 항일유적과 친일잔재 상징물을 답사하는 코스로, ▶북한강철교 ▶정미의병 활동지 ▶몽양기념관 ▶지평의병 ▶지평리 전투기념관 등을 방문할 예정이다. 신영주 교장은 “본 프로그램은 경기도의 항일유적과 일제 잔재 상징물에 대해 현장에서 배우고 올바른 역사 인식하기 위해 기획되었다.”라며, “누구를 원망하거나 비난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역사를 통해 우리의 정체성을 바로 갖고 미래를 준비하기 위함”이라고 말했다. .. 2023. 9. 1.
수원 북수동과 장안동 한옥 조사 (사)화성연구회(이사장 최호운)는 9월 25일 수원화성 내 한옥 조사를 회원 12명이 참가하여 5개조로 나눠 했다. 나는 조인상 박사와 윤의영 이사와 함께 5조에 속하여 북수동과 장안동에 있는 한옥 사진 촬영을 했다. 이번 조사를 한옥은 양호한 한옥과 일반 한옥으로 구분하여 조사했으며, 대상 한옥은 2009년과 2017년 조사했던 한옥으로 이번 조사는 3번째 조사가 된다. 관리 상태는 한옥의 내부는 살피기 곤란하여 외부형태만을 사진 촬영하였다. 2023. 8. 26.
오덕만 (사)문화살림 대표의 발표: 우현 고유섭 선생의 한국미(韓國美)란? 나는 오덕만 한국문화재지킴이연합 회장이 7월 18일 19시부터 화성박물관에서 "문화유산과 문화재지킴이의 가치"란 주제 발표 전에 한국미에 대하여 고유섭 한국최초 미학자의 '한국미'의 특징에 대한 내용에 전적으로 공감하여 그 내용을 촬영하여 아래에 올립니다. 우현 고유섭이 그의 저서에서 이야기한 한국미는 위에 사진에 있다. 그 내용을 다시 아래와 같이 풀이한다. 한국인의 미는 첫째 기교가 없는 가운데 기교가 있다. 즉 기교가 부리지 않는 가운데 아름다움이 있다고 보았다. 두 번째 구수한 큰 맛이 있다는 것이다. 구수하다는 것은 "순박하하고 순후함에서 오는 큰 맛이다."라고 설명한다. 순박이란 있는 그대로 자연그대로의 모습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순박이란 거짓이 없고 꾸밈이 없는 순수함이고, 순후라는 것은 온.. 2023. 7. 18.
2023 융릉기신제향 봉향 (사)전주이씨대동종약원 융릉 건릉봉양회(회장 이호락)는 7월 12일 11시부터 장마철이지만 다행히 비가 오지 않는 일기에 장조의황제 제261주기, 헌경의황후 제208주기 융릉기신제향을 경기도 화성시 효행로 481번길 21(융릉)에서 100여 명의 참사자가 참석한 가운데 봉행했다. 이번 제향은 초헌관에 이호락 융건릉봉양회 회장, 아헌관에 부마 댁인 홍관희 풍산홍씨대종회 회장, 종헌관에는 이종화 융건릉봉양회 부회장이 각각 맡았다. 감찰에 이운강, 찬자에 이진의, 대축에 이종국, 축사에 이승용, 제랑에 이준우, 집사자에 이용재, 집준자에 이민순, 전사관에 이원선, 알자에 이회수, 해설에 이은우 융건릉봉양회 임원이 각각 맡았다. 이호락 융륭 건릉 봉향회장은 인사말에서 "이곳은 종일 햇볕이 잘 들고 천하제일의 터.. 2023. 7. 12.
(사)해반문화, 백령도에서 『태고의 지구, 백령도에서 우주를 보다!』 개최 (사)해반문화(이사장 최정숙)는 오는 7월 4일(화)부터 6일(목)까지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도에서 『태고의 지구, 백령도에서 우주를 보다!』를 주제로 백령도 문화유산 예술 섬 만들기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태고의 지구, 백령도에서 우주를 보다!』는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이 주최, (사)해반문화가 주관, 인천광역시 옹진군(군수 문경복)과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가 후원하는 행사로 사전에 모집된 백령도를 사랑하는 시민(40명)과 백령도 주민이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1일 차에는 백령도 국가지질공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명승 ‘두무진’ 모니터링‧연구 활동과 천연기념물 ‘사곶 사빈’에서 『대지예술로 피어나는 해양쓰레기』 주제로 주변 정화 활동을 하고, 해양쓰레기로 작품을 만들어보는 시간이.. 2023. 6. 28.
사)한국문화재지킴이단체연합회, ‘2023 문화재지킴이날’ 성황리에 마쳐 사)한국문화재지킴이단체연합회(회장 오덕만)은 지난 22일(목) 문화재청(청장 최응천)과 사)한국문화재지킴이단체연합회의 주최‧주관으로 국립고궁박물관 별관 강당에서 ‘2023 문화재지킴이날’ 기념식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기념식에는 채수희 문화재청 문화재활용국장, 김종규 문화유산 국민신탁이사장, 진병길 사)한국문화유산활용단체연합회장, 김재홍 사)문화재형사회적경제연합회장을 비롯해 전국에서 참여한 문화재지킴이 60여 명이 참가했다. 행사는 퓨전국악그룹 ‘비단’의 축하 공연을 시작으로, 청소년 지킴이 김민재, 신주란 학생이 ‘문화재지킴이 윤리 강령’을 낭독했다. 이어 오덕만 회장의 기념사, 채수희 국장과 김종규 이사장의 축사, 최호운 한지연 수석부회장의 ‘문화재지킴이날의 의의와 미래’, 홍보영상 시청, 유공.. 2023. 6. 28.
오각연전(吾刻緣展) 관람 서각(書刻)이란 나무에 글을 새기는 것으로 알고 있을 뿐이다. 오늘은 화성박물관에서 "오각연전(吾刻緣展)"을 관람하고 서각이란 정성, 끈기, 집렴으로 만드는 하나의 예술 작품이란 것을 알게 되었다. 이번 전시회는 (사)화성연구회 전임 이사장인 김충영 등 5명의 작가가 수원화성의 현판 등의 서각 작품을 전시 마지막 날이었다. 오늘 친구와 함께 화성박물관 전시실에 들어서자 입구에서 김충영 작가가 반갑게 맞아주면서 그의 작품을 친절하게 설명해줬다. 김 작가는 서각을 배우게 된 이야기를 먼저 다음과 같이 말했다. "화성관련 공무원으로 일하면서 「화성성역의궤」 4권에 화성을 만든 2,000여명의 이름을 보고 이들의 업적을 길이 남기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당시 팔달문 복원 공사를 하면서 폐기할 목재들이 많이 나왔.. 2023. 4. 30.
고려기원 1106년 춘계 숭의전대제 봉행 고려기원 1106년 숭의전(崇義殿) 춘계대제(春季大祭)가 개성왕씨종친회(회장 왕동식) 주관으로 화창한 봄 날씨에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숭의전로 382-27 숭의전에서 개성왕씨 후손, 고려공신 후손, 일반시민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3년 4월 2일 11시부터 봉행되었다. 이 사당은 고려를 세운 태조 왕건과 함께 나라를 부흥시킨 현종, 문종, 원종 등 4분의 왕 위패를 모시고 있고, 배신청에 복지겸, 홍유, 신숭겸, 유금필, 배현경, 서희, 강감찬, 윤관, 김부식, 김취려, 조충, 김방경, 안우, 이방실, 김득배, 정몽주 등 16분의 공신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초헌관에 김덕현 연천군수, 아헌관에 신철수 평산시씨대종중회장, 종헌관에 왕윤식 숭의전감, 봉조관에 왕기준 숭의전 전임전감, 분헌관에 복.. 2023.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