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059 안면도 꽃지에서 일몰 안면도 꽃지해수욕장에서 일출입니다. 카메라를 챙지지 못해서 휴대폰으로 촬영하였지만 그래도 볼만 하네요. 2013. 7. 30. 구채구 수정구 구채구 물에는 나무가 있고 산이 있이 있기도 하고그냥 물이 아니네. 구채구 산에는 구름이 있고눈이 있기도 하고그냥 산이 아니네 2013. 7. 29. 구채구에서 인산인해 인파 구채구에서 만난 사람은 선택받은 사람들이다. 우리도 선택받은 사람으로 볼 수도 있을지 모르지만 중국사람 중에서 구채구 관광을 할 수 있는 사람은 우리보다 더 선택받은 사람이 아닐 가? 중국사람의 평균소득으로 보면 입장료가 약 5만원으로 큰 돈이 아닐 수 없다. 선택받은 사람들은 어떤 모습일 가? 감상해 보시기 바란다. 모두 중국 관광객이다. 앞 줄에 앉은 사람들은 우리 일행이다. 구채구에서 가장 높은 3,100미터의 장해가 보이는 곳에서 버스에서 하차한 직후 본 중국사람들이다. 흰 모자와 털 옷을 입은 사람들은 이곳 원주민이다. 버스를 타려고 전쟁을 벌리고 난 후이다. 폭포를 오르고 있는 중국관광객들 버스를 기다리고 있는 사람들이다. 이 때 나는 카메라 갭을 잃어버렸다. 길거리에서 그냥 가지고.. 2013. 7. 29. 황룡에서 고산증 체험 고도가 높아질 수록 공기중 산소가 적어 숨쉬기 어렵다. 2,500m정도는 별 느낌을 받지 않으나 3,000m를 넘어 4,000가 되면 나이 먹은 사람은 산소 부족으로 나타나는 고산증으로 고생한다. 금번 여행에서 가이드는 고산증 예방을 위하여 한병에 5,000원하는 약 하루에 2병씩 3일 먹을 것을 권장했다. 그러나 일부 건강에 자신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너무 약이 많다고 해서 당초 3일분을 구입하려 했으나 1일분만 구입을 했다. 그리고 한 통에 1만원하는 산소는 전원이 같이 구입하기로 했다. 산소가 부족하면 과일 봉지가 위 사진과 같이 팽창한다. 고도가 2,000-3,000m가 되는 구채구에서 과자 봉지는 부풀러 올라 왔다. 좌측에 보이는 작은 병이 티벳트에서 생산한다고 하는 고산증 방지약이.. 2013. 7. 29. 안동 봉정사 봉정사(鳳停寺)는 봉황새 봉(鳳)자에 머무를 정(停)자, 절사(寺)를 따서 지은 이름이다. 영주 부석사에서 의상대사가 종이 봉황새를 접어 날려 머문 곳에 절을 지었다고 한다. 봉정사는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에 있다. 안동 하회마을과 그리 멀지 않은 곳이라 시간이 허락하면 하회마을과 .. 2013. 7. 29. 국보16호 안동 "신세동7층전탑"|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되고 큰 탑인 신세동7층전탑입니다. 우리나라 탑은 처음 목탑이 나오고, 목탑을 모방하여 벽돌로 쌓아 만든 전탑이 나왔고, 전탑에서 석탑으로 발전했다고 합니다. 전탑은 작은 충격에도 쓰러지기 쉽다고 합니다.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에 세웠던 것으로 추정하고 .. 2013. 7. 29. 논산 탑정저수지 탑정저수지는 충남에서 2번째로 큰 저수지로 일제가 1941년 공사를 시작하여 1944년에 완공하였다. 그 때 공사에 참여하였던 아버지로부터 들은 이야기는 거의 인력으로 했다고 한다. 중국에서 온 노동자들이 많았으며, 공사 중에 죽은 사람도 많았다고 한다. 추측 컨대 대 역사로 보인다. .. 2013. 7. 29. 익산 보석박물관 조각품 호남고속도로 익산IC에서 나오면 바로 익산보석박물관이 우측에 있다. 이 지역은 보석가공업이 발달한 지역으로 보석세공으로 유명한 곳이다. 중국이 날로 발전하면서 보석가공업도 어려워 지는 것으로 알고 있다. 박물관 규묘에 비하여 찾는 손님은 많지 않은듯 했다. 보석구경도 한 적.. 2013. 7. 29. 충주 장안농장 가축 옛 농촌은 소나 돼지 등 가축을 키우고, 거기에서 나오는 거름으로 벼나 보리 등 농작물을 경작하는 목축-경작의 순환하는 유충농업이었으나 근래에는 이런 농업은 사라지고 축산전문기업이 나오면서 가축은 농촌에서 사라졌다. 가축을 키우면서 경작을 하는 것은 경쟁력이 없지만 그래.. 2013. 7. 29. 소백산 철쭉 희방사 주차장 입구에서 1시간을 오른 후 처음을 철쭉은 나무 잎 보다는 땅 위에서 만난다. 벌써 철쭉은 피고 진 것이다. 점점 산위로 오를 수록 철쭉 꽃은 활짝 피었다. 보통 공원에서 보는 철쭉과 달리 산 중턱에 있는 철쭉은 키가 이와 같이 무척 크다. 본래 철쭉 꽃 색이 진하지 않고 연.. 2013. 7. 29. 이전 1 ··· 489 490 491 492 493 494 495 ··· 5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