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070 여름철 스키장 풍경 동계올림픽유치에 2번 낙방하고 2018년 3수에 도전하고 있는 평창 용평에 오늘 잠시 방문하였습니다. 용평으로 들어오는 입구부터 강원도 산골 모습은 전혀 없었고 스위스에 온 것 같은 기분이었습니다. 서구풍 건물이 있고 도로는 깔끔했습니다. 간판도 한글과 영문으로 되어 있었습니다.. 2013. 7. 29. 일본 동조궁 방문 나는 2003년 6월28일 일본 니꼬에 있는 동조궁을 방문한 적이 있다. 동조궁은 일본의 센고쿠를 통일하고 에도 막부를 세운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1616년 이에야스가 세상을 떠나자 닛코(日光)에 웅장한 동조궁을 건조하고 이듬해 그 유골을 안장하였다. 동조.. 2013. 7. 29. 강릉 경포호의 경호정(鏡湖亭) 강릉하면 경포대를 떠올리게 된다. 경포해수욕장이나 경포호를 알지만 경호정(鏡湖亭)을 아는 사람은 흔치 않다. 경호정은 거울(鏡)같이 맑은 호수(湖)에 있는 정자(亭)라 이름에 걸맞게 경포호가 내려다 보이는 곳에 있다. 경포해변에서 선교장쪽으로 가는 중간에 우측 얕으막한 산 기슭.. 2013. 7. 29. 그리스군 참전기념탑 그리스는 한국동란 때 UN군으로 참전한 16개국 중 하나이다. 그리스군은 1950년 12월 850명 보병 1개 대대와 8명의 간호장교가 참전하였다. 연인원 5531명이 참전하여 186명이 목숨을 잃었다.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하여 이들은 소중한 목숨을 바쳤다. 그리스군의 참전기념비는 1974년 강릉방향 .. 2013. 7. 29. 경포호의 금란정(金蘭亭)| 경포해수욕장에서 선교장으로 가면서 경포호 옆에 눈길을 끄는 정자가 있어 차를 세웠다. 금란정, 상영정, 경호정의 3개의 정자가 나란히 경포호를 바라 보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정자가 금란이였다. 아래의 안내판을 보면 이 정자는 원래 매학정이었으나 금란계원이 구입하.. 2013. 7. 29. 경포대 상영정 경포해변에서 경포대 사이 얕으막한 산기슭에 정자가 사람들의 이목을 끈다. 가운데 있는 것이 상영정이이고 자측에 금란정이 있고, 우측에 경호정이 있다. 금란정과 경호정은 지방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어서 그런지 몰라도 금란정과 경호정에 대한 관광안내 자료 많으나 이 상영정에 관.. 2013. 7. 29.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물래방아 백전리물레망아 물레방아는 노래가사에도 있고, 소설에도 영화에도 가끔 등장하는 정겨운 우리 전통 유물이다. 그렇지만 실제 물레방아를 본적이 있는 사람은 흔치 않다. 나도 강원도 첩첩산중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물레방아를 처음 보았다. 강원도 정선군 화암면 백전리 백전물레방아는 온전하게 .. 2013. 7. 29. 석탄은 하나의 역사 속으로 가고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세상은 빠른 속도로 변하고 있다. 지금 살아가고 있는 우리세대에 나무 때던 시절이 있었고, 나무 대신 구공탄이 나오면서 산도 푸르러졌고, 생활도 더 윤택해졌다. 지금은 기름으로 살아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우리는 석유로 살고 있다. 석탄이 주 연.. 2013. 7. 29. 수원의 재래시장 예전에는 남문에 가야 시장을 볼 수 있었다. 수원에서 남문시장은 정말 유명했다. 경기도에서 가장 땅 값이 높은 곳이 남문시장에 있는 보건약국이었다. 남문시장 바로 옆에 있는 지동시장도 남문시장과 더불어 오래된 시장이다. 내가 수원으로 이사 오던 해에 화서동에 주공아파트가 건.. 2013. 7. 29. 새해 첫날 하고 싶은 말 "계속하는 힘" 유니참 CEO 다카하라 게이치로가 쓴 "원하는 것을 반드시 이루게 하는 계속하는 힘"이란 책을 보고서, 지난해 내가 실천한 아침운동과 중국어 공부는 바로 "계속하는 힘"이 있었구나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의 머리글의 일부를 아래에 옮긴다. 계속하는 힘은 평범한 사람을 비범에 이르게 하.. 2013. 7. 29. 설경 속을 걷는 나의 출근길 금년을 하루 남겨 놓은 2010년 12월30일 새벽 눈이 제법 와 쌓였다. 햐얀 눈은 볼거리를 주고, 여기에 일출은 멋을 더한다. 일출과 설경은 아름다운 상위조합이 마주하였다. 구름다리를 넘어서자 동녁에 해가 뜨고 있었다. 서호공원의 입구에 서 있는 새마을 탄생지를 기념한 조각 사이로 해.. 2013. 7. 29. 수확을 기다리고 있는 콩 우리나라에서는 콩은 뽑아 말린 후 타작을 하여 알곡을 골라내는 모든 작업이 사람이 하는 전통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미국이나 캐나다에서는 콩은 뽑아내지 않고 서 있는 채로 건조시킨 후에 콤바인으로 수확을 한다. 미국이나 캐나다에서 재배되는 콩은 완전히 익어도 콩은 스스로 터.. 2013. 7. 29. 이전 1 ··· 413 414 415 416 417 418 419 ··· 4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