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678

아름다운 수원화성 야경 화성연구회 회원사진반 회원과 같이 수원화성 3월3일(음력 2월3일) 20-22시 촬영한 사진입니다. 차례로 용연에서 본 방화수류정과 화홍문, 봉돈(불을 피워 외적의 긴급상황을 알리는 것), 동북공심돈(화성의 동북쪽에 있으며 속이 비어 있고 높은 감시초소), 서장대(지휘본부)에 뜬 초생달이.. 2014. 3. 5.
구봉도 부부 소나무 좋은 사진을 얻으려면 기술도 당연히 좋아하야지만 소재도 그 만큼 중요하다. 대부도와 연결된 구봉도에 가면 소나무 두 그루를 볼 수 있다. 언뜻보면 한 그루같지만 자세히 보면 두 그루이다. 둘이 하나가 되는 모습을 보고 부부소나무라고 이름을 붙어본다. 이 소나무 앞 뒤로 바다 물.. 2014. 3. 4.
이른 본에 찾아 간 복수초와 노루귀 사진 모임에서 봄꽃 찾아 3월1일 신구대학교식물원에서 복수초와 대부도와 연결된 구봉도를 찾았다. 그러나 꽃은 아직 피지 않았고, 겨우 만난 꽃도 못생겨서 마음에 차지 않았다. 그래도 우리를 맞아주니 감사하지 않을 수 없다. 구봉도 해변을 따라 한 참을 돌아 간 후 추위를 방패로 막.. 2014. 3. 4.
과천 경마장 겉 모습 돈이 최고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세상이다. 놀음이란 세계에 들어가 재수좋게 일확천금을 갖고 싶은 마음은 누구나 마음속에 가지고 있다. 노력으로 안되는 세상 놀음이라도 통해서 이루보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경마는 하나의 희망이 된다. 그러나 일확천금은 얻는 사람도 간혹 .. 2014. 3. 3.
패닝사진 촬영 방법 패닝(panning) 사진이란 움직이는 물체의 속도나 진행방향에 맞춰서 카메라를 이동시키면서 촬영하는 기법이다. 피사체는 선명하게 보이고 배경은 흘림효과가 나타나게 하여 사진이 실제 움직이는 것과 같은 역동적인 느낌을 준다. 패닝사진촬영은 이론으로는 한번 배웠지만 직접 패닝사.. 2014. 3. 2.
국립중앙박물관 건물 국립중앙박물관은 우리나라 최고 박물관이다. 원래 국립중앙박물관은 경복궁 뒷편에 있는 지금 국립민속박물관으로 사용하고 있는 건물에 있었다. 그 후 지금은 헐리고 없는 일제가 지은 조선총독부 건물이며 해방이 후 중앙청으로 사용했던 곳이었다. 중앙청 박물관을 마감하고, 2005년.. 2014. 2. 25.
한국의 도교문화 특별전시 관람 지난 2월20일 우리 시경반모임은 국립중앙박물관을 방문하고 "한국의 도교문화" 특별 전시를 먼저 관람했다. 도교에서는 서왕모가 주는 복숭와와 같은 불사약을 먹거나 수련을 통해 신선이 되려 했다. 불교에서 사후 극락세계로, 기독교에서 천당으로 영원불변 살고 싶어했던 것과 도교.. 2014. 2. 25.
수원화성 성신제(城神祠) 봉행 수원화성 성신사에서 2014년도 고유제가 (사)화성연구회 주관으로 2014년 2월15일(음 1월15일) 13시 김준혁 사무처장의 집례로 초헌관에 이낙천 이사장, 아헌관에 김이환 명예이사장, 종헌관에 김충영 고문께서 맡아 봉행하였다. 화성의궤에 기록된 성신사 내용을 보면 사당이 세워자 1796년 9월19일 태상(太常: 제향(祭享)과 시호(諡號)에 관한 일을 맡던 관아)에서 신주를 가지고 와 사당 정면 간에 봉안하였다. 해 마다 봄 가을 맹삭(봄 음력 1월1일, 가을 음력 7월1일)에 제사를 지냈다. 일제가 철거하여 없애 버린 것을 수원시의 화성역사문화도시 조성사업으로 2008년4월부터 공사를 시작하여 2009년 10월 완공하였다. 성신사 사당 앞에서 (주)화성연구회 회원들이 제례에 앞서 담소를 나누고 있다.. 2014. 2. 16.
서울숲 서울숲은 옛뚝섬 경마장 자리에 있었다. 새로 만든 숲이라서 아직 어린 숲만 있다. 한강과 연결이 되어 산책길로 훌륭했다. 2호선 뚝섬역 7-8번 출구로 나와 300여미터 걸어 나오면 고층 아파트가 보인다. 이 아파트 앞이 서울숲이다. 경마장은 과천으로 이사 갔고, 조각품만 남아 지금도 달.. 2014. 2. 15.
수종사 (水鏡寺) 수종사( 水鍾寺) 종소리 따라 가보니 굴속에서 똑똑 떨어진 물방울 그 불심이 낳은 운길산 수종사 오백년을 두물머리를 바라 보고 있는 은행나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거스름이 없이 흐르는 강을 오늘도 바라 보고 있다. 대웅보전 앞 찻집에서는 수백년 변함없이 오늘도 속세의 때를 .. 2014. 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