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글은 박영미 박사가 2004년 천적연구회 주관 천적이용 해충방제 컨설팅 워크숍에서 발표한 자료입니다.
나비목해충의 형태와 생태
박영미
ympark14@rda.go.kr 016-480-2241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잠사양봉소재과
1. 나비목이란?
나비목(Lepidoptera)이라는 이름은 그리스어의 인편(lepidos=scale)과 날개(pteros=wing)에서 유래한 것으로 나비류와 나방류가 포함된다.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알려진 종(種)수는 약 200,000종으로 총 동물계의 약 10%에 달한다. 곤충 중에서는 딱정벌레목 다음으로 많은 종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에는 약 3200여종의 나비․나방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994, 한국응용곤충학회). 이들은 언제 어느 곳에서도 쉽게 발견되며, 때로는 많은 수의 유충들을 발견할 수 있다.
2. 나비목 해충의 중요성
나비목에 속하는 종들은 경제적으로 중요한 것들이 많다. 나비목 해충은 주로 유충태로서 피해를 주며, 대부분의 유충은 광식성(廣食性, polyphagous)이고, 많은 종들이 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준다. 우리나라에서는 농작물 해충 가운데 나비목 해충이 약 40%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 되어있을 정도이다(식물보호학회, 1986). 유충의 먹이선호성은 수목류을 섭식하는 것과 채소 및 초본류를 섭식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간혹 수목류와 초본류 모두를 섭식하는 것도 있다.
수목에서의 나비목 해충은 주로 신초를 갉아먹거나 꽃과 잎도 갉아먹고, 때로는 잎과 잎을 철하거나 줄기 내에 굴을 파고 들어가 가해하기도 한다. 심할 경우에는 어린 과실과 줄기까지 먹어치워 심각한 피해를 주기도 한다. 채소에서는 꽃, 잎, 줄기를 갉아먹고, 때로는 과실에 굴을 파고 들어가 가해하기도 한다. 특히, 거세미나방류는 작물의 지제부를 가해하기 때문에 어린 영기에는 눈에 잘 띄지 않고 대부분이 노숙 유충기에 발견되곤 한다.
나비목에 속하는 종들의 산란수는 300개에서 많은 것은 3000개에 이르기까지 많은 수를 산란하며, 이들은 부화부터 작물에 피해를 주기 시작함으로써 나비목 해충은 유충뿐만 아니라 성충의 예찰도 그만큼 중요하다.
3. 나비목 유충의 형태적 특징
일반적으로 몸통은 굵은 원통형으로 배다리는 4쌍이 잘 발달되어 있고(그림. 1-가), 자나방科의 경우 배다리는 복부 6번째 배다리만 남고 나머지는 소실되어 이동할 때 자벌레 운동을 한다. 입틀은 일반적으로 씹는 형태(chewing mouthpart)로서, 대부분 작물의 잎을 섭식함으로써 피해를 준다. 많은 유충의 자모는 퇴화되어있고, 독나방과 알락나방과 쐐기나방과등은 자모가 길게 발달되어 있다. 배다리의 crochet은 과마다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그림. 1-나, 다).
그림 1. 나비목유충의 일반적인 형태(가-유충의 측면, 나-동장형의
배다리의 crochet, 다-장단교호상의 배다리의 crochet)
4. 주요 나비목 해충의 형태적 특징
가. 도둑나방 (Mamestra brassicae Linnaeus, Cabbage armyworm)
(1) 기주 및 피해
광식성으로 배추, 양배추, 셀러리 등 채소작물은 물론, 장미 백합 등과 같은 화훼작물을 가해하기도 한다. 봄, 가을에 피해가 심하고, 결구채소의 속으로 들어가며 식해하기도 한다.
(2) 형태적 특징
성충의 날개편길이는 40-47mm이고, 몸은 전체가 회갈색-흑갈색으로 앞날개에 흰색, 갈색, 검은색의 인편이 산재하고 콩팥무늬 부위에 백색 반점이 있다. 유충은 잎을 먹으면서 녹색 또는 흑록색이 된다. 다자란 유충은 40mm로서 머리는 담록-황갈색, 몸은 회흑색에 암갈색 반점이 많다. 기주식물 및 온도에 따라서 녹색을 띠는 경우도 있다. 봄, 여름에는 암갈색, 가을에는 회흑색 개체가 많다. 번데기는 18-25mm로 적갈색이다.
(3) 생태
연 2회 발생하며 번데기로 겨울을 난다. 1회 성충은 4-6월에 주로 발생하며 여름 고온기에는 번데기로 하면을 하며 2회 성충은 8-9월에 나타난다. 고랭지 저온지대에서는 한여름에 발생이 많다. 성충은 해질 무렵부터 활동을 시작하며 낮에는 마른잎 사이에 숨는다. 3령까지는 무리 지여 가해하다가 4령 이후 분산하여 생활하고, 다 자란 유충은 땅속에서 번데기가 된다. 어린 유충은 잎 뒷면에서 잎살만 갉아먹지만 자라면서 잎 전체를 폭식하므로 피해 밭은 작물은 엽맥만 남는 경우도 있다.
그림 2. 도둑나방의 유충(가, 나)과 성충(다)
나.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Fabricius, Tobacco cutworm)
(1) 기주 및 피해
거의 모든 채소류와 전작물을 가해하며 2령 유충까지는 잎뒷면에 무리지어 엽육을 갉아먹고, 3령 이후 분산하여 잎뒷면 또는 흙덩이 사이에 숨어 있다가 도둑나방처럼 가해한다.
(2) 형태적 특징
성충의 날개편길이는 30-38mm 정도이며, 앞날개는 갈색 또는 회갈색으로 매우 복잡한 무늬가 있다. 숫컷의 앞날개 끝부분에는 비스듬한 회청색의 띠가 있으나 암컷에서는 확인 할 수 없다. 뒷날개는 회백색이고 투명하며, 가장자리는 회색이며 종종 시맥이 짙은 색을 띤다. 유충은 몸길이가 약 40-45mm으로 3령까지 가슴마디에 검은 띠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자란 유충의 체색은 흑갈색-회색까지 다양하고 몸통무늬 또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몸통 각 마디 등면에 삼각형의 검은 무늬가 양옆으로 있고 가슴 두째마디 등면에 두개의 노란점이 뚜렷한 것이 특징이다.
(3) 생태
성충은 우화후 2-5일 동안 1,000-2,000개의 알을 100-300개의 난괴로 잎 뒷면에 산란한다. 산란수는 고온과 저습에 반비례하며, 남부지방에서는 5세대까지 경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성충 발생최성기는 4세대 발생기인 8월 하순이다. 다자란 유충은 식물체 주변의 토양내에 흙고치를 짓고 번데기가 된다
그림 3. 담배거세미나방의 유충(가, 나)과 성충(다)
다.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übner, Beet armyworm)
(1) 기주 및 피해
유충은 잡식성으로 채소, 회훼류, 전작물 등을 널리 가해한다. 파에서는 잎 속으로 들어가 안에서 가해하며, 결구 식물에서는 결구 속으로 파고 들어가 피해를 주고, 그 외 작물에서는 잎을 가해한다.
(2) 형태적 특징
성충의 날개편길이는 11-12mm이다. 앞날개는 폭이 좁은 황갈색이며, 날개 중앙에 청백색 또는 황색점이 있고 옆에 콩팥무늬가 있다. 유충은 몸길이가 35mm 정도이며 체색변이가 심하여 황록색-흑갈색이다. 보통은 녹색인 것이 많다. 녹색형은 기문 주변에 주홍색의 고리를 가지고 있다. 때때로 각 마디 등면에 검은 막대형 무늬가 나타나기도 한다
(3) 생태
파밤나방은 노지에서 1년 4-5회 발생하며 제주도 및 남부 해안지역의 따뜻한 지역에서는 1회 이상 더 발생할 수 있다. 고온성해충으로 25℃에서 알에서 성충까지 28일 정도 걸리고 1마리의 암컷이 1,000개 정도를 산란하므로 8월 이후 고온에서 계속 발생량이 많다. 성충이 5월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10월까지 발생한다.
그림 4. 파밤나방의 유충(가, 나)과 성충(다)
라. 왕담배나방(Helicoverpa armigera Hübner, Tomato-worm, Cotton bollworm)
(1) 기주 및 피해
기주범위가 넓어 감자, 양배추, 배추 등 채소뿐만 아니라 거베라 안개초등 화훼류 그리고 감귤과 같은 과수에도 피해를 준다. 배추, 거베라와 같은 채소류와 화훼류의 경우 잎을 가해하고 오이와 같은 채소는 과육을 가해하며, 감귤 과수의 과실에도 피해를 준다.
(2) 형태적 특징
날개편길이는 35mm 내외로서 앞날개는 회황색이다. 뒷날개의 검은 외연부 띠는 담배나방보다 넓다. 유충의 몸길이는 약 35-40mm로 체색은 녹색에서 갈색까지 다양하다. 2차 자모는 잘 발달하여 있고, 자모밑판이 발달하여 돌출되어 있고 검은 색으로 착색되어 있거나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3) 생태
연 2-3회 발생하며, 땅속에서 흙으로 고치를 짓고 번데기로 월동한 후 이듬해 5-6월경 우화한다. 알은 신초부위의 잎 앞면과 꽃봉오리에 낱개로 산란되며, 성충의 산란수는 400-600개 정도이다. 5-7월의 1세대 유충은 거의 문제되지 않으나 8월 중, 하순 이후의 2세대 유충 발생에 주의해야한다.
그림 5. 왕담배나방의 유충(가-다)과 성충(라)
마. 담배나방(Helicoverpa assulta Guenée, Oriental tobacco budworm)
(1) 기주 및 피해
담배나방은 주로 고추와 담배를 가해하나, 기록에 따르면 토마토, 목화, 옥수수, 피망, 가지, 호박, 대마 등도 가해한다. 담배나방은 고추의 경우 잎, 꽃봉오리 등을 가해하기도 하지만 주로 애벌레가 과실 속으로 들어가 종실을 가해함으로서 피해를 주고 피해를 받은 과실은 연부병에 걸리거나 부패하여 대부분 낙과된다. 또한 애벌레는 하나의 고추만을 가해하는 것이 아니고 다자랄 때까지 계속 다른 과실로 옮겨가면서 가해하는데 유충 1마리가 10개 정도의 과실을 가해하기도 하며, 평균 3~4개의 고추를 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형태적 특징
날개편 길이는 33mm 내외로 왕담배나방보다 약간 작고 앞날개는 회황색이다. 유충은 왕담배나방과 매우 유사하며, 자모밑판이 왕담배나방보다 작아 돌출부위가 크지 않다.
(3) 생태
국내에서 담배나방은 연 3회 발생한다. 번데기로 땅속에서 월동한다. 성충 1마리 당 보통 300-400개 정도 산란하지만 산란수는 개체에 따라 큰 차이가 있어 많이 낳는 개체는 약 700개 까지도 산란한다. 담배나방 유충은 먹이조건에 따라 다르나 보통 4-5회 탈피후 번데기가 되는데, 다자란 유충은 고추 속에서 나와 땅속에서 번데기가 된다. 번데기 기간은 9-27일 정도이며, 유충과 마찬가지로 저온에서 그 기간이 길어진다.
그림 6. 담배나방의 유충(가-다)과 성충(라)
바. 곱추맵시밤나방(Cucullia fraterna Butler)
(1) 기주 및 피해
유충이 상치 고들빼기 등의 잎을 식해 한다. 섭식량이 많으므로 소수의 유충이 발생하여도 작물에 미치는 피해가 크다.
(2) 형태적 특징
성충은 날개편길이가. 44-47mm이고 앞날개는 암회색 바탕으로 시맥의 주변을 따라 흑색을 약간 띠며, 기부 아래쪽은 황백색을 띤다. 유충의 몸길이는 45mm 정도이며 머리는 흑색이고 몸은 짙은 황색과 청흑색띠 부분이 규칙적으로 번갈아 나열되어 있다.
(3) 생태
유충은 5-6월, 8-9월에 발견되며, 성충은 6월 하순, 9월경에 나타난다. 5월에 출현한 유충이 6월 상순에 흙 속에서 용화 했다가 6월 하순에 우화하는 것으로 미루어 유충으로 월동할 가능성이 높다.
그림 7. 곱추맵시밤나방의 유충(가)과 성충(나)
사. 멸강나방(Pseudaletia separata Walker, Rice armyworm)
(1) 기주 및 피해
벼, 보리, 밀, 옥수수, 조, 수수, 귀리 등 벼과 식물의 대부분으로 기주범위가 넓다. 애벌레는 잎살을 갉아먹어 피해를 주며 7-9월경에 홍수가 범람할 때 침수된 지역에서 때때로 벼에 큰 피해를 준다. 애벌레는 특히 9일 내에 잎집만 남기고 먹어 치워 버리고 또 다시 다른 논으로 옮겨 가서 계속 피해를 입힌다.
(2) 형태적 특징
성충의 날개편길이는 35-43mm로서 전체적으로 황갈색을 띠나 때로는 황색이 강하거나 또는 암갈색으로 나타날 때도 있어 색의 변화가 많다. 시정에서 안쪽으로는 비스듬히 흑갈색 줄무늬가 있으며, 외연은 미소한 흑색점의 열로 되었다. 뒷날개는 대체로 암갈색을 띠는데 안쪽으로는 담색을 띤다. 유충은 기문을 따라 검은 줄이 나있는 것이 특징으로 체색은 황색에서부터 검은색까지 다양하다.
(3) 생태
해외로부터 날아오는 것으로 추정되며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지내지 못하며 1년에 1-2회 발생하는데 1회 성충은 5월 하순-6월 초순에, 2회 성충은 7월상․중순경에 나타난다. 알은 마른 잎에 20-30개 무더기로 700개 정도 알을 낳는다.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는 1-5일 동안 잎살만 갉아 먹다가 차차 흩어져 밤낮 구별 없이 피해를 주나 4령 후부터는 낮에는 땅 표면에 숨어 있다가 밤에만 나와서 피해를 준다.
아. 배저녁나방(Viminia rumicis L., Sorrel cutworm)
(1) 기주 및 피해
유충은 사과나무, 배나무, 벚나무등 주로 장미과 나무에서 볼수 있으며 콩과작물이나 배추 등 기주범위가 넓다. 유충은 주로 어린잎을 가해하는 것이 보통이다. 어린 유충은 잎의 표피를 갉아먹듯이 가해하다 자라면서 잎 전체를 갉아먹는다. 섭식량이 많아 어린 묘목 등에서는 가지의 신장이 크게 저해 받을 수 있다.
(2) 형태적 특징
성충의 날개편길이는 약 35-40mm로 암갈색 바탕에 흑색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유충의 몸길이는 약 30mm로 몸통에 많은 털이 나있고 각 마디의 중앙부에 노란점이 있으며, 등면으로 흰색의 털다발이 V자형으로 나있는 것이 특징이다. 봄형은 검은 색에 가까우며 가을형은 갈색에 가깝다.
(3) 생태
연 2회 발생하며 땅속에서 번데기가 되어 월동한다. 유충은 6월경과 8-9월경에 발생하여 잎을 가해한 후 땅에 내려와 자신의 털 등을 몸에 붙여서 고치를 짓는다.
그림 9. 배저녁나방의 유충(가-봄형, 나-가을형)과 성충(다)
자. 흰눈까마귀밤나방(Amphipyra monolitha Guenée)
(1) 기주 및 피해
사과나무, 복숭아나무, 벚나무, 포도나무 등이 기주이며 어린 유충은 신초다발내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 가해한다. 한가지의 선단부부터 가해하기 시작하여 아래로 이동한다. 때때로 꽃봉우리에 구멍을 내고 들어가 있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초봄 새싹이 날 때 발생하여 신초와 꽃봉우리를 가해한다.
(2) 형태적 특징
성충의 날개편길이는 약 55-60mm 정도로, 앞날개는 적갈색으로 날개 중심에 고리모양이 뚜렷하다. 유충의 몸길이는 약 40-45mm. 몸통은 꽤 굴고, 색깔은 연녹색으로 흰점이 산포되어 있다. 배마디 9번째 마디가 원추형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기문선은 노란색으로 뚜렷하다.
(3) 생태
5월 상순경 어린유충과 피해흔을 발견할 수 있으며 6월 중순경 잎을 철하여 번데기가 된다. 6월 하순-7월초에 성충으로 우화한다. 7월경에 성충이 채집이 되나 그 이후의 생활경과는 명확하지 않다.
그림 10. 흰눈까마귀밤나방의 유충(가)과 성충(나)
차. 오이금무늬밤나방(Anadevidia peponis Fabricius)
(1) 기주 및 피해
어린 유충은 박과작물의 잎 뒷면을 그물무늬모양으로 갉아먹다 자라면서 잎전체를 갉아먹어 피해를 준다. 때론 열매의 표면을 갉아먹어 상품가치를 떨어뜨린다.
(2) 형태적 특징
몸길이 약 40mm. 배다리는 복부 5번째 마디와 6번째 마디에만 발달되어 있어 자벌레운동을 한다. 머리에는 검은 띠가 뚜렷하며 몸 전체에 자모밑판이 검은 원뿔모양으로 발달되어 있어 마치 가시가 돋은 것처럼 보인다. 등에는 세줄의 흰 등선이 뚜렷하다.
(3) 생태
연 발생횟수는 4-5회로 추정되며 6월경에 노지작물에도 발생하지만 9월경에 발생이 많다. 다자란 유충은 잎을 말고 속에서 백색의 얇은 고치를 짓고 번데기가 된다. 번데기와 유충으로 월동 한다
그림 11. 오이금무늬밤나방의 유충(가-어린유충, 나-노숙유충)과 성충(다)
카. 콩금무늬밤나방(Ctenoplusia agnata Staudinger, Three spotted plusia)
(1) 기주 및 피해
콩, 팥, 강남콩 등을 가해하며 부화유충은 섭식량이 적고 아래 잎부터 가해하므로 피해가 발생하는 초기에는 발견하기 어렵고 유충이 거의 자라서야 피해가 발견되므로 일단 발견하면 피해량이 이미 큰 상태이다. 많이 발생하면 잎맥만을 남기고 엽육을 모두 섭식한다.
(2) 형태적 특징
성충의 몸길이는 18-19mm 정도에 날개편길이는 28-29mm 정도이다. 앞날개는 흑갈색이며 금빛 광택이 있고 은백색의 반점이 2개 있다. 유충은 머리보다 몸통 부분이 굵으며 다 자라면 28-29mm에 이른다. 머리는 황록색으로 측면에 검은 선은 없는 것부터 뚜렷한 것까지 변이가 있다. 배다리는 복부 5번째 마디와 6번째 마디에만 발달되어 있어 자벌레 운동을 한다. 번데기는 16-17mm 정도의 크기이며 번데기가 된 직후에는 녹색이지만 점차 적갈색으로 변한다.
(3) 생태
연 2-3회 발생하고, 유충은 8-10월에 출현하며, 성충은 6-8월경에 출현한다. 다 자란 유충은 잎 사이에 실을 토해 고치를 만들어 번데기가 된다.
그림 12. 콩금무늬밤나방의 유충(가, 나)과 성충(다)
참고문헌
임업연구원, 1991. 수목해충도감. 42-53pp. 삼정인쇄사.
한국식물보호학회, 한국병해충잡초명감, 일우인쇄사, 633pp.
한국응용곤충학회, 1994. 한국곤충명집. 건국대학교출판부, 752pp.
Choi, G. M., S. C. Han, M. H. Lee, W. S. Cho, S. B. Ahn, and S. H. Lee, 1990. Ecology and management of insect pest on vegetable, 224pp. Sammi publishing, Suwon.
Hwang, C. Y and K. T. Park, 1986,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Oriental Tobacco Budworm (Heliothis assulta) and th Corn earworm (H. armigera). Korean J. Plant Prot. 25(1): 33-35.
Kononenko, V. S. S. B. Ahn, and L. Ronkay, 1998. Illustraed Catalogue of Noctuidae in Korea (Lepidoptera). 507pp. Jeonghaeng-sa, Seoul.
Mutuura, A. Y. Yamamoto, and S. Issiki, 1971. Early stages of Japanese moths in color. vol. 1: 61-228, Hoikusha publishing, Osaka.
Yamamoto, M., K. Nakatomi, R. Sato, H. Nakajima, and M. Owada, 1987. Larvae of Larger Moths in Japan. Noctuidae, 185-254, pl. 89-120, Kodansha, Tokyo.
'병해충방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멸강나방의 습격 (0) | 2011.07.27 |
---|---|
무서운 흑성병 (0) | 2011.07.09 |
교미를 못하게 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놀라운 기술 "교미교란 페로몬" (0) | 2011.05.07 |
살충포집기 해충방제 효과 있을 가? (0) | 2010.01.10 |
딸기의 해충 (잎응애류) (0) | 2008.06.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