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충의 형태, 생태, 방제79

동부에 발생한 아카시아진딧물 동부는 흔히 동부콩이라고 부르나 동부가 정식 명칭이다. 동부에 탄저병 약제 선발시험을 하고 있는데, 아카시아진딧물이 많이 발생했다. 줄기에 많이 발생하고 있다. 심하게 발생하면 작물이 자라지 못한다. 진딧물을 가뭄 때 많이 발생하고, 비가 오면 물리적 타격과 함께 곤충기생균이 발생이 많아 급격히 밀도가 낮아진다. 올해 비가 오랫동안 비가 오지 않아 대체로 진딧물 발생이 많다. 2022. 6. 19.
비름에 발생한 아카시아진딧물 비름은 잡초가 되기도 하며, 요즘 나물로 데처서 먹는 채소 작물로 재배하기도 한다. 비름재배 주산지는 경기도 양평군 개군면 석장리이다. 이곳에서 문제되는 해충은 차응애이다. 해충의 발생은 환경에 영향을 크게 받아 지난해까지 비름에는 진딧물 발생이 없었으나 올해는 가뭄 끝에 진딧물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비름에도 아카시아진딧물이 발생하고 있어 촬영했다. 진딧물을 기후 환경 조건이 맞으면 빠른 속도로 밀도가 증가하여 피해를 주기도 하나, 얼마지나면 크게 피해를 줄 것만 같던 진딧물의 급격한 증식도 멈추고 언제 발생했느냐 하듯이 바로 없어지기도 한다. 2022. 6. 19.
토마토 줄기 속을 갉아먹는 파밤나방 유충 주말농장으로 시설하우스에 토마토 10포기를 5월 15일 심었다. 심은지 한 달이 지나 뿌리가 잘 내리고 줄기도 무성하게 자라고 있다. 꽃이 피고 열매가 달리기 시작한다. 오늘은 토마토 이상 없이 잘 자라고 있나 보았다. 언뜻 보기에 생육이 좋아 보였다. 그러나 지주에 줄기를 잡아 매주면서 한 토마토 한 포기 줄기 사이에 찢어져 있어 잘 살피니 그 속에 나방 유충 한 마리가 들어 있었다. 나뭇가지를 집어넣어 잡아 빼내니 제법 큰 놈이다. 이 놈은 편안하게 있다가 외적(?)에 의해 밖으로 잡혀나오니 무서웠던지 꽈리를 틀고 한동안 움직이지 않았다. 집에와서 이 놈의 이름을 찾아 보니 담배나방으로 보인다. 유충의 색깔이 녹색으로 보이는 것은 먹고 사는 곳이 토마토 줄기 속이 녹색이라서 그럴 것으로 보인다. 이 .. 2022. 6. 19.
복숭아혹진딧물과 고추 피해 아래 사진은 고추에서 촬영한 복숭아혹진딧물과 그 피해 사진이다. 2021. 9. 15.
복숭아가루진딧물(Hyalopterus pruni(Geoffroy) 오늘 수원 서호공원 동쪽에 있는 살구나무 잎을 관찰하니 새로 나온 잎(신초)가 진딧물 피해로 일부는 말려있고, 피해가 심한 것은 잎이 떨어지거 없었다. 잎은 진딧물의 배설물인 감로가 묻어 있었고, 백색 가루가 보였다. 현미경에서 자세히 살펴보아야 확실하게 어떤 진딧물인가 종을 밝힐 수 있지만 우선 문헌에 있는 형태를 비교 하여 본 결과 복숭아가루진딧물(Hyalopterus pruni(Geoffroy)로 추정된다. 이 진딧물의 특징은 뿔관은 원형이며 짧으며 기부의 폭이 좁다. 끝편은 담색이다. 무시충의 암컷 체장은 2.5mm, 몸은 담녹색이다. 등에 녹색을 띠는 곳이 있다. 복숭아나무, 살구, 매실 등이 기주이다. 2021. 5. 9.
미국흰불나방 미국흰불나방(Hyphanria cunea (Drury, 1773))은 나비목 불나방과에 속하며, 북미 원산으로 아시아 지역에 침입한 것이 1948년경 일본, 1958년경 한국(서울), 1979년경 중국의 순으로 발생하기 시작하여 만연되었으며 우리 나라와 일본은 미군 화물에 묻어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유충 한 마리가 100~150 cm²의 잎을 섭식하며 1화기보다 2화기의 피해가 심하다. 이 해충은 산림 내에서는 피해가 경미하며 도시 주변의 가로수나 정원수에 특히 피해가 심하다. 1화기 성충이 5월 중순~6월 상순에 나타나 600~700개의 알을 잎 뒷면에 무더기로 낳는다. 2화기 성충은 7월 하순부터 8월 중순에 우화하여 산란하고 약 7일의 난기를 거쳐 8월 초순부터 유충이 부화하기 시작하여 1.. 2020. 6. 26.
완두굴파리 완두굴파리(Chromatomyia horticola (Goureau))는 완두콩의 주요 해충이다. 성충은 몸 길이가 1.7-2.5mm이고 머리가 회백색이고, 가슴도 회백색이며 가슴 가운데에 털이 있는 게 특징이다. 뒷날개에 황색의 띠가 있고 날개는 투명하고 시맥은 갈색이다. 유충은 유백색이고 노숙하면 길이가 2.7mm정도고 타원형이다. 유충은 잎 속에 잠입하여 굴을 파고 먹기 때문에 피해 받은 잎은 하얀 줄로 상처가 난다. 피해를 받은 완두콩 잎이다. 이 사진은 완두굴파리의 성충사진으로 자닮 박덕기기자의 사진이다. 끈끈이 트랩에 잡힌 완두굴파리 성충이다. 2020. 6. 11.
콩 꼬투리 노린재 피해 콩꼬투리에 노린재 피해가 근래 심하다. 농약을 사용하기 전에는 콩에 농약없이도 노린재 피해가 크지 않았으나 농약을 사용하면서 노린재의 천적이 없어지면서 자연계에서 천적에 의한 노랜재 방제가 어렵게 되었다. 노랜재는 꽃이 피고 열매가 열리기 시작하면 열매가 완숙되기 전 부.. 2018. 9. 25.
미국흰불나방 유충과 그 피해 미국흰불나방 암컷성충의 앞날개 길이는 16mm, 수컷성충 앞날개 길이는 14-15mm이고, 몸색은 흰색이고 앞 날개에 검은 점이 있다. 다 큰 유충은 길이가 30mm정도이고, 머리는 둥근모양의 광택이 있는 흑색이고 백색의 긴털이 몸에 많이 있다. 원산지가 미국으로 전세계에 2차대전 때 군수물자.. 2018. 9. 25.
대추에 복숭아심식나방 올 추석(9월 15일)에 논산 고향에 갔다. 내가 태어 났고 자랐던 고향 집에는 10여년전 아버지는 돌아가시고 어머니 혼자 살고 있었다. 그 때 집 터밭에 사과, 배, 포도, 복숭아나무를 각각 10주씩 심었고, 대추나무 4그루, 감나무 3그루, 호두나무 1그루가 있었다. 7-8년 어머니도 안 계시고 나.. 2016. 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