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태 이야기가 있는 역사문화연구소장이 발간한 신간 『한국의 금표』는 전국의 금표를 전수 조사한 책으로 총 78개의 금표를 목적별로 분류했다. 이전까지 산림금표나 고양 연산군 시대 금표비처럼 개별 금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적은 있으나 전국의 금표를 다룬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소장은 금표를 “행위의 금지를 표식한 것”으로 정의하고, 그 목적은 보호를 위해 출입과 이용을 금지한 것이 주를 이룬다고 말했다. 또한, 금표가 새겨진 배경을 통해 역사의 한 장면을 이해할 수 있고, 다양한 목적의 금표가 확인됨에 따라 금표의 재분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책에서는 금표를 크게 ▶왕실금표 ▶산림금표 ▶사찰금표 ▶제단·신앙금표 ▶장소 관련 금표 ▶행위 금지 금표 ▶기타 금표 등의 목적으로 분류했다. 해당 분류에 따르자면 왕릉 관련 금표로는 유일한 사례인 화성 외금양계비는 왕실금표로, 마니산에서 확인된 참성단 금표의 경우 제단·신앙금표, 고양 연산군 시대 금표비는 행위 금지 금표로 분류할 수 있다.
김 소장은 “이 책은 단순히 금표만을 다룬 것이 아니라며, 다른 기록과의 교차 분석을 통해 금표가 담고 있는 역사성을 최대한 살리고자 했다.”라며, “금표 중 상당수가 비지정문화재이기에 향후 문화재지킴이 활동을 통한 보호와 연구, 홍보 등을 고민하며 책을 발간했다.”라고 말했다.
한편, 김 소장은 뉴스타워 문화재 전문기자와 인천일보, 평택자치신문 필진, 문화재지킴이 경기인천권거점센터 홍보기획팀장, 수원문화원 인문학 역사 탐방 강사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독자들과 만나고 있다. 이밖에 ‘문화재로 만나는 백제의 흔적: 이야기가 있는 백제(2019)’과 ‘조선왕실의 태실(2021)’, ‘경기도의 태실(2021)’, ‘왕릉으로 만나는 역사: 신라왕릉(2022)’ 등 다수의 책을 펴냈다.
휴앤스토리. 신국판(348쪽). 1만 8천원.
'문화재 지킴(지정 미지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가 있는 역사문화연구소, 성과보고회 성황리에 마쳐 (0) | 2023.12.09 |
---|---|
수원지기학교, ‘내 고장 문화재 가꾸는 날’ 행사 성황리에 마쳐 (0) | 2023.10.22 |
수원지기학교, ‘경기다크투어: 잊혀진 역사와 마주하는 여행’ 성황리에 마쳐 (2) | 2023.10.10 |
수원화서동 마애삼존불상 (0) | 2023.01.08 |
평동벌말도당굿 및 도당 등 모니터링 (1) | 2022.1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