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光山金氏 이야기201

광성군 묘역 광성군 묘역은 춘천시 칠전동 대우아파트 안에 있다. 이곳은 본래 산이었으나 아파트가 이곳에 건설되면서 묘역 일부만 공원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묘역 남쪽에 위치한 묘역 안내 입석이다. 묘소는 금년에 완공한 곡담으로 둘러처 있다. 고려추성보리공신 중대광대호군 광성군광.. 2014. 11. 30.
양간공 후 광성군 세일사 봉행 광성군 세일사가 강원도 춘천시 칠전동 617번지 광성군 묘역에서 2014년 11월22일(음력 10월1일) 양중씨의 집례로 100여명의 후손이 참석한 가운데 초헌관에 달수씨(관찰사공파), 아헌관에 광수씨(척약제공파), 종헌관에 송현씨(직제학공파), 축에 영래씨가 봉행하였다. 집례의 창홀에 따라 위.. 2014. 11. 30.
판군기감사공 홀기 판군기감사공 세일사 홀기이다. 일반 세일사 홀기와 차이는 서립 전에 사제의라는 신주를 사당에서 재실로 모셔오는 의식이 추가로 있는 점이다. 2014. 11. 30.
판군기감사공 세일사 진설 판군기감사공은 광산김씨 17세며 휘는 영리(英利)이다. 공은 1314년 출생하여 고려 충목왕 정해년에 전라도안렴존무사와 탁전을 지냈고 공민왕 갑오에 좌사의대부로 통의대부판군기감사에 이르렀다고 고려사에 있다. 광성군 휘 정(鼎)의 아버지이다. 묘는 실전하였고, 위패는 강원도 춘천.. 2014. 11. 30.
신독재 선생이 지은 진설도와 광성군종중에서 이용하는 제물의 진설도 제사는 절차가 복잡하여 바로 기억하기 쉽지 않다. 그래서 조상들은 홀기(笏記)를 만들어 창홀에 따라 전에 하던 방식대로 행하고 있다. 제례예식 절차 못지 않고 명확하지 않아 시비가 많은 것이 진설이다. 광산김씨 문중에서는 신독재 김집 선생이 만든 "高井祭祀節目 祭器祭位畓置簿".. 2014. 11. 30.
판군기감사공 세일사 판군기감사공 세일사가 강원도 춘천시 칠전동 617번지 모술재에서 2014년 11월22일(음력 10월1일) 양중씨의 집례로 초헌관에 달수씨(관찰사공파), 아헌관에 광수씨(척약제공파), 종헌관에 송현씨(직제학공파), 축에 영래씨가 봉행하였다. 판군기감사공의 묘는 실전하여 없고, 제례를 모술재.. 2014. 11. 28.
영중추부사 송시열이 지어 받친 인경왕후(仁敬王后)의 지문(誌文) 영중추부사 송시열(宋時烈)이 제술(製述)하여 받친 인경왕후의 지문(誌文) 숙종왕비 인경왕후 제334주기 제향 봉행이 10월 25일 서오릉 내 익릉에서 있었다. 그 때 사단법인 전주리씨대동종약원 (全州李氏大同宗約院) 전례위원 이규상선생의 해설 중에서 우암 송시열이 지은 인경왕후 지문.. 2014. 10. 27.
숙종왕비 인경왕후 제향 참가자 이모저모 서오릉내 익릉에서 봉행된 2014년도 익릉 제334주기 제향 참석자 이모저모입니다. 익릉 전경 제관과 집사 분정기 바를 정자 모양의 집으로 정자각이라 부르며 릉 앞에 있고, 이곳에서 제사를 지낸다. 전향례를 올리고 있다. 제례를 봉행하기 위하여 초헌관부터 제관이 앞에 가고 뒤이어 집.. 2014. 10. 26.
숙종왕비 인경왕후 제향 봉행의 제물(祭物)과 제기(祭器) 인경왕후(숙중의 정비)의 제향이 10월25일 12시 익릉에서 있었다. 왕후의 제례에 사용된 제물과 제기는 일반인의 것과 달랐다. 제물과 제기 하나 하나가 최고의 예(禮)을 표하는 것이었다. 봉건군주시대에는 군주와 신하의 관계가 어떠한 가를 제례에서 제물(祭物)과 제기(祭器)에서도 볼 .. 2014. 10. 26.
숙종왕비 인경왕후 제334주기 제향 봉행 숙종왕비 인경왕후 제334주기 제향 봉행 인경왕후 제334주기 제향이 2014년 10월25일 화창한 가을 날씨에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475-89 서오릉 숙종왕비 (인경왕후) 익릉에서 문화재청이 주최하고,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주관으로 130여명의 참배객이 참석한 가운데 엄숙히 봉행되었다. 금.. 2014. 10.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