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연구회(이사장 김충영)는 제56회 수원화성문화제 행사 중 하나로 화성 성신사(城神祠) 모신 성신(城神)에게 고유례롤 10월 2일 11시 비가 오는 날씨에 봉행했다. 이번 고유례에서는 금번 개최되는 화성문화제 행사를 고하고, 새로 제작한 위패 봉안을 고했다.
제례 의식은 초헌, 아헌, 종헌, 망예례 순으로 봉행했으며, 이날 초헌관은 김충영 화성연구회 이사장, 아헌관은 김이환 전 이사장, 종헌관은 김동훈 전 이사장, 집례는 김용헌 유교신문 수원주재기자, 축은 화성연구회 회원, 알자는 공준식 화성권리사 사무국장, 집사는 김석중, 황기섭, 조성진 회원이 각각 맡았다.
성신사는 화성을 지켜주는 신을 모신 사당이다. 1796년(정조 20) 7월 11일 공사가 시작되어 1달만에 완공되었다 잘 보존되었으나 일제 강점기에 훼철하여 2009년 10월 중건했다.
아래는 이번에 봉행한 고유례 홀기이다.
■ 請外儀
본 의례 앞서하는 의식을 행한다.
◎ 執禮引祝官及諸執事入階間拜位北向西上立
집례는 축관과 제집사를 인도하여 계단 사이에 배위에 나아가 서쪽을 상으로 북향한다.
◎ 祝官以下皆四拜(鞠躬 拜興 拜興 拜興 拜興 平身)
축관이하 모두 4배한다.
◎ 詣盥洗位 盥手帨手 訖 各就位
관세위에 나가 손을 씻고 수건으로 닦고 각 위치로 간다.
◎ 奉香奉爐 開櫝點燈燭 降復位
봉향과 봉로는 개독하고 촛불을 킨 후 제자리로 돌아온다.
◎ 謁者引獻官及諸生入就拜位
알자는 헌관과 제생을 인도하여 각자 위치에 가게 한다.
◎ 謁者引初獻官升東階點視陳設訖復位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고 동계로 올라가 제물과 진설을 점검하고 다시 나와 선다.
◎ 謁者請行事 告由禮 (謁者進 初獻官之左 勤求請行事)
알자는 고유례 행사를 청하시오 (알자는 초헌관의 좌측에서 삼가 행사를 청한다).
◎ 獻官以下皆四拜(鞠躬 拜興 拜興 拜興 拜興 平身)
헌관이하 모두 4배한다.
1. 初獻禮(초헌례)
◎ 謁者引初獻官詣盥洗位 初獻官搢笏 盥手帨手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를 받아 관세위에 나아고 초헌관은 홀을 꽂고 손을 씻는다.
◎ 謁者引初獻官詣樽所西向立
알자는 초헌관을 준소로 인도하여 서향으로 선다.
◎ 司樽擧冪爵醴齊
사준은 멱을 들어 작에 예제를 뜬다.
◎ 奉爵以爵受酒
봉작은 작에 술을 받는다.
◎ 引詣華城城神 神位前 北向 搢笏跪
화성성신 신위 앞으로 인도하여 북향하여 홀을 꽂고 꿇어앉는다.
◎ 奉香初獻官之右跪 奉爐初獻官之左跪
봉향은 초헌관의 우측에 무릎 꿇고, 봉로는 초헌관의 좌측에 무릎 꿇는다.
◎ 奉香捧香盒 奉爐琫香爐
봉향은 향합을 받들고 봉로는 향로를 받든다.
◎ 三上香
3번 향 피운다.
◎ 奉香奉爐古處還置 降服位
봉향과 봉로는 (향과 봉로를) 원래 장소에 놓고, 제 자리로 간다.
※ 봉향과 봉로는 제자리로 돌아가지 않고 봉작과 전작을 도와 줄 수 있으면 돕는다.
◎ 奉爵以爵授初獻官
봉작은 잔을 초헌관에 준다.
◎ 初獻官受盞
초헌관은 잔을 받는다.
◎ 初獻官執爵獻爵以爵授奠爵
초헌관은 잔을 받아 헌작하고 그 잔을 전작에게 준다.
◎ 奠爵奠于神位前 初獻官俯伏興平身
전작은 잔을 신위전에 올리고, 초헌관은 엎드렸다 일어난다.
◎ 祝官初獻官之左東向跪
축관은 초헌관의 좌측에 동향하여 무릎 꿇어 앉는다.
◎ 獻官以下諸執事參禮者鞠躬俯伏
헌관이하 모든 집사 및 참예자는 엎드린다.
◎ 讀祝文
축을 읽는다.
◎ 讀祝畢
축 읽기를 끝낸다.
◎ 初獻官以下在位者俯伏興平身
초헌관이하 모두 엎드렸다가 일어난다.
◎ 謁者引初獻官祝官降復位
알자는 초헌관, 축관을 인도하여 정한 자리로 복위한다.
3. 亞獻禮(아헌례)
◎ 謁者引亞獻官詣盥洗位 亞獻官搢笏 盥手帨手
알자는 아헌관을 인도하여 관세위에 나아고 아헌관은 홀을 꽂고 손을 씻는다.
◎ 謁者引亞獻官詣樽所西向立
알자는 아헌관을 준소로 인도하여 서향으로 선다.
◎ 司樽擧冪爵盎齊
사준은 멱을 들어 작에 앙제를 뜬다.
◎ 奉爵以爵受酒
봉작은 작에 술을 받는다.
◎ 謁者引亞獻官詣華城城神 神位前 北向 搢笏跪
알자는 아헌관을 화성성신 신위 앞으로 인도하여 북향하여 홀을 꽂고 꿇어앉는다.
◎ 奉爵以爵授亞獻官
봉작는 잔을 아헌관에 준다.
◎ 亞獻官受盞
아헌관은 잔을 받는다.
◎ 亞獻官執爵獻爵以爵授奠爵
아헌관은 잔을 받아 헌작하고 그 잔을 전작에게 준다.
◎ 奠爵奠于神位前 亞獻官俯伏興平身
전작은 잔을 신위전에 올리시오. 아헌관은 엎드렸다 일어난다.
◎ 謁者引亞獻官降復位
알자는 아헌관을 인도하여 정한 자리로 복위한다.
4. 終獻禮(종헌례)
◎ 謁者引終獻官詣盥洗位 終獻官搢笏 盥手帨手
알자는 종헌관을 인도를 받아 관세위에 나아고, 종헌관은 홀을 꽂고 손을 씻는다.
◎ 謁者引終獻官詣樽所西向立
알자는 종헌관을 준소로 인도하여 서향으로 선다.
◎ 司樽擧冪爵淸酒
사준은 멱을 들어 작에 청주를 뜬다.
◎ 奉爵以爵受酒
봉작은 작에 술을 받는다.
◎ 謁者引終獻官詣華城城神 神位前 北向 搢笏跪
알자는 종헌관을 화성성신 신위 앞으로 인도하여 북향하여 홀을 꽂고 꿇어앉는다.
◎ 奉爵以爵授終獻官
봉작은 잔을 종헌관에 준다.
◎ 終獻官受盞
종헌관은 잔을 받는다.
◎ 終獻官執爵獻爵以爵授奠爵
종헌관은 잔을 받아 헌작하고 그 잔을 전작에게 준다.
◎ 奠爵奠于神位前 終獻官俯伏興平身
전작는 잔을 신위전에 올리시오. 종헌관은 엎드렸다 일어난다.
◎ 謁者引終獻官降復位
알자는 종헌관을 인도하여 정한 자리로 복위한다.
◎ 獻官以下諸生皆四拜(鞠躬 拜興 拜興 拜興 拜興 平身)
헌관이하 제생 모두 사배한다.
5. 望瘞禮(망예례)
◎ 謁者引初獻官望瘞位北向立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망예위에 북향으로 서 있는다.
◎ 祝官以篚取祝自西階置於坎
축관은 광주리에 축문을 담아 서쪽 계단으로 내려 와 구덩이에 넣는다.
◎ 可燎置土半坎
축문을 불사른 후 흙으로 반쯤 묻는다.
◎ 謁者引初獻官 復位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돌아간다.
6. 禮畢(예필)
◎ 謁者告禮畢 (謁者初獻官之左告禮畢)
알자는 예필을 고한다. (알자는 초헌관의 좌측에서 예필을 고한다).
◎ 執事闔櫝消燈閤扉
집사는 독을 덮고, 불을 끄고, 문짝을 닫는다.
◎ 執禮率謁者執事階間拜位四拜訖以差出
집례는 알자와 집사를 인솔하여 계간배위에서 4배하고 나간다.
본 제례의식에 앞서 성신사 외삼문 앞에서 헌관, 집사, 재위자들이 서립해 있다.
김충영 초헌관이 헌작하고 있다.
윤의영 축관이 독축하고 있다. 이 때 창홀은 헌관이하 모두 업드리라(獻官以下諸執事參禮者鞠躬俯伏)했으나 그렇게 하지 않았다. 이 번 고유례에서 지적사항이다.
김이환 아헌관이 헌작하고 있다.
본인이 집례로 창홀하고 있다.
고유례를 모두 마친 후 제관, 집사, 재위자 등 모두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수원화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을 불사르는 갈대 (0) | 2019.11.11 |
---|---|
화성연구회 2019년 김문수교수 초청 학술세미나 개최 (0) | 2019.10.13 |
화령전 자세히 보기 (0) | 2019.08.31 |
화령전 국가보물지정 고유제 때 제기와 유품 (0) | 2019.08.31 |
화령전(운한각, 복도각, 이안청) 보물지정 고유제 및 축하연회 개최 (0) | 2019.08.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