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光山金氏 이야기

광김(光金) 유향(遺香)에 매달리다.

by 仲林堂 김용헌 2017. 12. 29.

지난 6월 어느날 충남대학교 명예교수께서 "광산김씨 이야기" 책자를 집필하려고 하는데 같이 하자는 제안이 왔다. 이 책자의 제목은 "광김(光金) 유향(遺香)"으로 정했으며, 일종의 광성군 김정(金鼎) 후손의 광산김씨 야사(野史)이다. 송백헌 교수의 주도로 공주에 사는 김원중 전 교장 일가께서 천오백만원을 내놓겠다고 했고, 편집자로 김원중 일가, 김정수 전 교장, 그리고 내가 동참하면서 출발했다. 나는 6월 30일부터 지금까지 많은 시간 공을 드리고 있다.


나는 그간 퇴촌공파, 직제학공파, 공안공파, 그리고 판교공파의 이야기를 수집하고 수정 보완했으며, 기타 의정공파는 송교수, 창주공파 원중 일가와 목사공파 정수 일가께서 수집으며, 수집한 이들 원고 또한 내가 수정보완했다. 관련 사진은 내가 스스로 맡았다. 강경, 연산, 양촌, 계룡 왕대리, 대전 창주공 묘역과 허주공 묘역, 경기도 광주, 의왕 등에서 4일 동안 700여장 찍었고, 앞으로 한 두번 출사 예정이다.

대전 종려나무 출판사에서 12월 13일 1차 편집회의가 있었고, 그 때 받아 나를 포함한 4사람이 각각 수집한 원고를 2주간 수정보완하여 12월 27일 다시 종려나무에서 검토회를 가졌다. 네 사람 중에서 내가 잘 수정하지 않았나 자평한다. 


이번에 출판하려고 하는 책자의 제목과 지금까지 촬영사진 매수이다.  숫자 앞에 책은 책자에 있는 사진을 다시 찍은 것이고, 인터넷은 검색하여 찾은 사진이다. 그냥 숫자만 있는 것은 내가 촬영한 사진 맷수이다. 사진은 모든 사진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 중에서 선별하여 일부만 사용하게 됩니다.


시간과 돈이 투자하는 일이라지만 뜻이 있는 일이라 보람으로 알며, 스스로 좋아서 하고 있다. 이번에 나오는 책은 약 600페이지 가량이며 2천부를 찍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출판비는 2천만원이 넘을 듯하다.


번호

제목

촬영한 사진 장수/

묘소 위치

A 

. 이름을 남긴 선조

 

 

 

 

1

시조공 흥광(興光)의 평장동

興光

1

 

3

2

평장사의 유래

 

 

 

5

3

관찰사공((觀察使公)의 연산 입향(入鄕)

若采

19

관찰사공

3

4

척약재(惕若齋)공 약항(若恒)

若恒

19

척약제공

2 용인시 모현면 일산리 산23-284

5

직제학공(直提學公) 약시(若時)

若時

19

직제학공

8

6

퇴촌공 열()

20

퇴촌공파

4

7

목사공(牧使公) ()

20

직제학공

2

8

의정공(議政公) 국광(國光)

國光

22

의정공파

12

8(1)

근신히며 살다

國光

22

의정공파

 

8(2)

황희 정승 국광을 손자사위로 삼다

國光

22

의정공파

 

8(3)

연산(連山) 백중놀이

國光

22

의정공파

1

8(4)

옥사(獄事)를 바로 잡다

國光

22

의정공파

 

9

공안공(恭安公) 겸광(謙光)

謙光

22

공안공파

3

10

광원군(光原君) 극뉵(克忸)

克忸

23

의정공파 대사간파

1

11

충목공(忠穆公) 여석(礪石)

礪石

23

퇴촌공파 충목공파

1 무주군 안성면 사전리 退

12

담암공(潭庵公) 용석(用石)

用石

23

퇴촌공파 담암공파

6

13

청백리 좌찬성 개()

25

의정공파 부호군파

1

14

혜순옹주의 부군 광천위(光川尉) 인경(仁慶)

仁慶

25

공안공파 참판공파

양평군 옥천면 신복1156

15

사림의 종사(宗師) 정수(廷秀)

廷秀

25

판교공파

1

16

유일재 언기(彦璣)

彦璣

25

퇴촌공파  유일재공

인터넷 4

17

관찰사공(觀察使公) 지남(止男)

止男

25

직제학공 사마공파

5 2 용계집 화보

18

소설옹 영남(潁男)

潁男

25

직제학공 좌통례공

2

19

개명(改名)한 위남(僞男)

僞男

25

직제학공 정랑공파

167

20

황강 계휘(繼輝)

繼輝

26

의정공파 대사헌파

2

21

첨주공 은휘(殷輝)

殷輝

26

대사간파

첨추공파

5

22

사의공(司議公) 입휘(立輝)

立輝

26

대사간파

사의공파

2 반곡면 동상골

23

목사공(牧使公) 공휘(公輝)

公輝

26

의정공파 목사공파

4

24

참의공(參議公) 성휘(成輝)

成輝

26

경력공파 오강공파

4

25

좌승지공 선휘(善輝)

善輝

26

판교공파

1

26

갈봉공 득연(得硏)

得硏

26

퇴촌공파 담암공파

1 안동시 와룡면 신야동 退담암공재실

27

진사공 총()과 그의 자손

26

총제공파

1 괴산군 칠성면 송동리 오동산190

28

사계(沙溪) 장생(長生) 선생

沙溪

27

문원공파

12

28(1)

예학의 종장 사계(沙溪)

沙溪

27

문원공파

 

28(2)

계축옥사(癸丑獄事)와 사계(沙溪)

沙溪

27

문원공파

 

28(3)

맏아들 은()

沙溪

27

문원공파

 

28(4)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와 동춘당 송준길

沙溪

27

문원공파

 

28(5)

사계에 얽힌 토막 이야기: 13

沙溪

27

문원공파

1

29

정선 군수공(旌善郡守公) ()

27

수사공파

두마면 왕대리 (출사예정)

29(1)

청주한씨의 죽음

27

수사공파

 

29(2)

두 번째 부인 청해이씨

27

수사공파

 

29(3)

외암막골의 조카들

27

수사공파

 

29(4)

대둔산 산신령?

27

수사공파

 

30

현종 임금과 자건(自鍵)

自鍵

27

공안공파

평정공파

1

31

덕유산 금광굴과 경조(敬祖)

敬祖

27

퇴촌공파 세마공파

무주군 안성면 사전리 고하봉

32

신독재(愼獨齋) () 선생

28

문경공파

11

32(1)

도둑과 신독재(愼獨齋)

28

문경공파

 

32(2)

경국대전에 따른 적통 잇기

28

문경공파

 

32(3)

한삼천 느티나무

28

문경공파

1

32(4)

고운사 스님과 신독재 묘소

28

문경공파

 

32(5)

율곡의 중신과 유씨부인

28

문경공파

 

32(6)

장애자 아내의 잘못을 대신하다

28

문경공파

 

32(7)

자루 버선을 신다

28

문경공파

 

32(8)

()와 정()

28

문경공파

 

32(9)

신독재와 허주공

28

문경공파

 

33

두계공(豆溪公) ()

28

두계공파

 

34

충의공 득남(得男)

得男

26

직제학공 좌통례공

4 광주군 실촌면 삼합리

35

창주공 익희(益熙)

益熙

29

허주공파 창주공파

6

36

창주와 우암 송시열(宋時烈)

益熙

29

허주공파 창주공파

 

37

아까운 나이에 목숨바친 충정공(忠正公) 익겸(益兼)

益兼

29

허주공파 충정공파

6

38

원수 접대 배종을 거부한 올곧은 선비 이호공(梨湖公) 만균(萬均)

萬均

30

허주공파 창주공파

홍성군 서부면 이호리

39

돈촌(遯村) 만증(萬增)의 초상화

萬增

30

허주공파 창주공파

세적록285쪽 초상화

40

만기와 외조부 윤지(尹墀)

萬基

30

허주공파 충정공파

6

41

서포(西浦) 만중(萬重)

萬重

30

허주공파 충정공파

3

41(1)

()와 의()로 살다

萬重

30

허주공파 충정공파

 

41(2)

첫 사랑과 귀양지에서 있었던 일

萬重

30

허주공파 충정공파

 

41(3)

구운몽과 사씨남정기

萬重

30

허주공파 충정공파

 

41(4)

암행어사 출도

萬重

30

허주공파 충정공파

 

42

죽천(竹泉) 진규(鎭圭)

鎭圭

31

허주공파 충정공파

1

43

우암(尤庵)의 초상화

鎭圭

31

허주공파 충정공파

 

44

한성부 판윤 원택(元澤)묘역에서 출토된 복식(服飾)

元澤

32

허주공파 창주공파

청주시 흥덕구 산남동 산22 363 초상화

45

모함(謀陷)받은 북헌(北軒) 춘택(春澤)

春澤

32

허주공파 충정공파

1 군포시 대야미동

333 초상화

46

묵헌공 복택(福澤)

福澤

32

허주공파 충정공파

1

47

,정조 때 외유 내강하고 청빈한 정승 직하(稷下) 상복(相福)

相福

33

허주공파 창주공파

홍성군 서부면 양공리

48

정역(正易)과 일부(一夫) ()

33

경력공파

2

49

관동대신 희()

34

허주공파 창주공파

연산면 관동리 (출사예정)

49(1)

젊은 관리를 업어서 내를 건너다

34

허주공파 창주공파

연산면 관동리

49(2)

호박 두 개를 상감께 바치라고 하다

34

허주공파 창주공파

연산면 관동리

50

병조판서 기석(箕錫)

箕錫

34

공안공파 참판공파

 

51

동교공(東嶠公) 기봉(箕鳳)

箕鳳

34

퇴촌공파 하동판관공

하동군 양보면 지례리 가락동

52

천주교와 익현(益鉉) 가문

益鉉

36

허주공파 도헌공파

세적록 378쪽 간찰

53

영완(永玩)의 깊은 우애

永玩

37

퇴촌공파 광림군파

거창군 신원면 대현리

 

 

 

 

 

 

B 

. 명당

 

 

 

 

1

왕자공의 세거지 평장동(平章洞) 이야기

 

1

시조공

5

2

춘천부사 화택이 찾아낸 광성군 정()의 묘소

18

광성군파

3

3

광산김씨 중흥지 연산 고정마을

 

 

 

4

4

돈암서원(遯巖書院)이 자리한 숲마을

 

 

 

2

5

정경부인 양천허씨의 봉분 모양

20

검열공

1

6

후손대중(大中)이 찾은 퇴촌공 묘소

20

퇴촌공파

2

7

공안공과 왕대리 명당

謙光

22

공안공파

5

8

판교공(判校公) 경광(景光)

景光

22

판교공파

2

9

광원군과 조선 8대 명당

克忸

23

의정공파 대사간파

순창군 임계면 하흘리

10

남편 묘와 토정 이지함

忠胤

24

경력공파

7

11

충의(忠毅)와 충효(忠孝)의 매곡마을

得男

26

직제학공 좌통례공

3

12

사계묘역

長生

27

문원공파

11

13

전민동 허주공 묘역

28

허주공파

6

13(1)

전리판서공 후손의 귀띔

28

허주공파

 

13(2)

3대 정승이 나온다는 자리

28

허주공파

 

13(3)

아들 묘를 위에 쓰라 한 허주공

28

허주공파

 

14

두계(豆溪) 지명의 유래

 

 

 

 

 

 

 

 

 

 

C 

. 건물

 

 

 

 

1

돈암서원(遯巖書院)

 

 

 

11

1(1)

양성당

 

 

 

1

1(2)

응도당

 

 

 

1

2

봉화 쌍벽당(雙碧堂)

彦球

25

퇴촌공파  쌍벽당공파

 인텃 4

3

안동 구담의 유일재(惟一齋) 고택

彦璣

25

퇴촌공파  유일재공파

인터넷4 

4

죽림서원(竹林書院)

沙溪

27

문원공파

4

5

임이정(臨履亭)

沙溪

27

문원공파

5

6

사의공(司議公)의 고택(古宅)

立輝

26

대사간파

사의공파

두마면 왕대리 (출사예정)

7

99칸 한옥 명관 고택

明寬

32

판교공파

인터넷4

8

은농재(隱農齋)

35

문원공파

6

9

긍구당(肯構堂) 고택

世煥

29

퇴촌공파 

 

D 

. 정려를 받은 분들

 

 

 

 

1

호랑이와 양천허씨

20

검열공

5

2

삼효열부(三孝烈婦)

仁宗

 

공안공

1

3

충의공 득남(得男)

得男

26

직제학공

좌통례공

1

4

열부 순천김씨

長生

27

문원공

6

5

병자호란 때 죽은 자빈(自鑌)

自鑌

27

공안공파

평정공파

   (출사예정)

6

연산서씨의 열행

28

허주공파

3

7

삼육재(三六齋) 정망(廷望)

廷望

28

경력공파 오강공파

3

8

충정공 익겸

益兼

29

허주공파 충정공파

1

9

서포 만중

萬重

30

허주공파 충정공파

1

10

정경부인 영일정씨

鎭圭

31

허주공파

충정공파

1

11

장택(章澤)과 자진(自盡)한 안동권씨

章澤

32

묵옥공파

 

12

은농재(隱農齋) ()

35

두계공파

1

13

기서(箕瑞)와 재형(在亨)

箕瑞

35

경력공파

2

 


 

 


 

E 

. 광산김씨의 여인들

 

 

 

 

1

양천허씨 호랑이 전설

20

검열공파

4

2

선혜옹주(善惠翁主)

20

총제공파

 

3

순천 김씨의 열행(烈行)

長生

27

문원공파

1

4

열녀 연산서씨(連山徐氏)

28

허주공파

 

5(1)

규중(閨中) 군자(君子) 해평윤씨

益兼

29

허주공파 충정공파

1

5(2)

아들 교육을 부탁한 해평윤씨

益兼

29

허주공파 충정공파

 

6

서원부부인 청주한씨

萬基

30

허주공파 충정공파

1

7

정경부인 한산이씨

鎭龜

31

허주공파 충정공파

1

8

인경왕후

肅宗

31

허주공파 충정공파

2

 

 

 

 

 

 

 F

.호적과 족보, 종회, 문집, 서문

 

 

 

 

1

양간공 연()의 보물로 지정된 호적

14

양간공파

1

2

광산김씨 족보 발간 역사

 

 

 

 

3

정동계회(貞洞契會),서악종회(西嶽宗會), 속서악종회(續西嶽宗會)

 

 

 

1

4

허백당 홍귀달이 쓴 퇴촌공의 시집빙옥난고(氷玉亂藁)서문

20

퇴촌공파

 

 

 

 

 

 

 

G 

. 암자, 사찰

 

 

 

 

1

신풍리 마애불

20

검열공파

1

2

송불암 미륵불

20

검열공파

2

3

고암사

鐵山

21

감찰공

1

4

고운사

繼輝

26

의정공파 대사헌파

 

 

 

 

 

 

 

H

사계종가

 

 

 

 

1

신도(神道)

 

 

 

  (출사예정)

2

백병풍

長生

27

문원공파

1

3

사계 영정

長生

27

문원공파

1

4

염수재(念修齋) 당호(堂號)

長生

27

문원공파

     (출사예정)

5

재경(在敬) 효자 정려

在敬

35

문원공파

     (출사예정)

6

소학을 실천한 부자

長生

27

문원공파

 

7

제사는 마음으로 한다

長生

27

문원공파

 

8

각제기사비(却祭紀事碑)

용승

39

문원공파

(출사예정)

9

배롱나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