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충의 형태, 생태, 방제

점박이응애의 모든 것, Tetranychus urticae

by 仲林堂 김용헌 2014. 7. 29.

1. 점박이응애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점박이응애는 전 세계에 발생하며 기주 범위가 아주 넓으며, 원예작물과 식량작물의 큰 해충으로 농작물 병해충 중 큰 피해를 주는 해충 중 하나이다. 딸기 재배에서 가장 문제되는 해충이다.

 

. 형태

점박이응애는 거미강(Arachinida), 응애아강(Acari), 전기문아목(Prostigmata), 잎응애상과 (Tetranychoidea), 잎응애과 (Tetranychidae)에 속한다. 잎응애과 중에서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종은 점박이응애와 차응애이다.

점박이응애는 알(egg), 유충(larva), 전약충(protonymph), 후약충(deutonymph), 성충의 발육단계가 있다. 알은 연노랑색이고, 둥글며 물방울 같다. 유충과 약충은 크기가 성충에 비하여 작으며, 성충과 비슷한 모양과 색깔을 가지고 있다. 유충은 진한 붉은색 눈을 가지고 있고, 3쌍의 다리가 있고 이동하지 못하고, 부화 직후에는 투명하나 흡즙하면서 옅은 색에서 진한 녹색으로 변하며, 등 중앙에 2개의 반점도 나타난다. 전약충은 2개의 반점이 유충 때보다 커지고 뚜렷하며, 4쌍의 다리를 가지고 있고 이동을 한다. 후약충은 전약충과 색깔은 같으나 크기가 크다.

암컷 성충은 복부가 둥글며 몸 전체가 타원형이다. 색깔은 오랜지색, 연황색, 갈색, 적색, 흑색, 연녹색, 짙은 녹색 등 다양하다. 증식형 암컷은 등면 좌우 1쌍의 검은 무늬가 뚜렷하고, 다리는 거의 흰색에 가깝다. 수컷 성충은 암컷보다 작고 행동이 빠르며 몸이 좁고 끝이 뾰쪽하다. 기주 식물이나 환경에 따라서 채색변이가 있는데, 환경이 적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적색 계통을 띄게 되며, 월동형은 반문이 없으며, 황적색을 띤다.

 

1.1. 점박이응애 암컷 성충 40배

       Female of T. urticae (40x)

 

1.2. 점박이응애 수컷 50배

       Male of T. urticae (50x)    

 

1.3 점박이응애 알 50배

      Eggs of T. urticae (50x)

 

1.4. 점박이응애 부화유충 100배

       Hatched larva of T. urticae (100x)

 

1.5. 점박이응애 유충 93배

       Larva of T. urticae (93x)

 

1.6. 점박이응애 약충 100배

       Female of T. urticae (x100)

1.7. 점박이응애 월동약충 95배

       Overwintering T. urticae (92x)

 

1.8. 점박이응애 월동 성충과 알

       Overwintering adult and eggs of T. urticae

1.9 점박이응애 교미 장면

    Mating T. urticae

 

. 생태

점박이응애는 밀도가 높거나 먹이가 부족할 때는 거미줄을 이용하여 이동한다. 이 거미줄은 자신과 자신의 알을 보호하는데 이용하기도 한다. 또한 다른 곤충들과 마찬가지로 이들 응애는 위로 올라가려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성충으로 월동한다.

점박이응애의 생활사는 알, 유충, 1약충, 2약충 그리고 성충 단계를 거치며, 온도가 높을수록 발육이 빨라지고 건조한 조건에서 증식을 잘 한다. 12이하에서는 발육하지 못하고, 40이상에서는 살지 못한다. 35이상의 고온이 지속되면, 증식 속도가 상당히 빨라져 수일 사이에 시설면적 전체 작물에 큰 피해를 발생시키기도 하나 밀도는 감소한다. 습도는 발육에 영향을 줘 낮은 습도에서 발육은 빠르며 더 많은 알을 낳는다. 여름 철 온실에서 밀도는 아주 빠르게 높아진다. 빠른 성장과 자주 농약 살포는 빠르게 농약에 대한 저항성이 빠르게 발달한다. 1은 온도별 발육태별 발육기간을 나타낸다.

점박이응애 암컷 성충 한 마리는 하루에 약 10개까지 알을 낳을 수 있지만, 기주 식물에 따라서 다르다. 암컷 성충 1마리가 일생동안 낳을 수 있는 알의 개수는 50-200개에 달한다.

점박이응애의 온도별 발육기간은 표 1에서와 같이 15에서 32.9일인데 비해, 30에서는 6.7일로 온도가 올라갈수록 발육 기간이 짧아진다.

점박이응애는 밀도가 높아지면 땅에 떨어져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도 하고, (거미줄)을 만들며 이 실을 타고 바람과 함께 다른 작물로 이동하기도 한다. 또한 기생하는 식물체에 묻어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기도 하고, 옷이나 농기구에 묻어서 이동을 하기도 한다. 온도가 높은 곳이나 농약 접촉이 잘 안되는 곳에 특별히 많이 발생한다.

 

1. 점박이응애의 온도별 발육 기간(Sabelis, 1981)

발육 단계

온도

15

20

25

30

35

14.3

6.7

4.3

2.8

2.4

유충

6.7

2.8

1.8

1.3

1.0

1 약충

5.3

2.3

1.5

1.2

1.0

2 약충

6.6

3.1

2.0

1.4

1.3

32.9

14.9

9.6

6.7

5.7

 

 

 

. 피해

성충뿐만 아니라 유충과 약충도 식물의 세포조직을 빨아먹어 피해를 준다. 이들은 잎 뒤에서 서식하면서 식물조직 세포 속을 찔러 식물 즙액을 빨아 먹으면 죽은 세포는 흰색 또는 연노란색의 반점으로 표면에 나타나고, 백황색 반점이 나타난다. 피해 받은 잎은 엽록소가 파괴되어 광합성을 할 수 없고 결국은 조기 낙엽하며, 더 심하면 식물체 자체가 고사되기도 한다. 밀도가 아주 높으면, 식물체를 거미줄로 덮게 되며, 더 이상 먹을 것이 없으면, 거미줄과 바람을 이용하여 다른 작물로 이동하여 피해 면적은 넓어진다.

점박이응애의 발생 예찰에 가장 발견하기 좋은 증상은 피해 확인이다. 초기 피해 증상은 작은 흰 반점으로 나타나며 점차 반점의 크기가 넓혀진다. 최초 발생지점에서 피해는 점차 옆으로 확산된다.

 

1. 10. 잎표면에 흰색 작은 반점이 보인다.

1.11. 흰색 반점이 점차 많아 진다.

1.12. 잎은 황변하고 거미줄이 보인다.

 

1.13. 잎은 일부 황변하고 거미줄이 많이 보인다.

 

1.14. 잎에 점박이응애 약성충이 많이 보인다.

1. 15. 잎은 일부 황변한다.

1. 16. 잎은 아주 말라 버린다.

 

1.17. 피해는 산발적으로 여러 곳에서 발생한다. 피해가 심한 곳은 식물은 자라지 못하고 잎은 변색된다.  

 

. 방제

(1) 경종적 방제

주변에 응애 발생이 없는 포장에서 작물을 재배하면 응애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응애 발생이 없는 깨끗한 묘를 이용한다.

시설 내부에 청소를 잘 하여 서식처를 모두 없애고, 외부와 잘 차단하면 응애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작물 수확을 완료하면 작물은 죽지만 작물의 잎에서 서식하던 응애는 생존을 위해 월동태로 들어가거나 잡초로 이동한다. 수확 잔재물, 제거한 잡초 등 응애가 붙어 있을 만한 것은 모두 시설 밖으로 옮겨 버린다.

시설 내로 응애가 침입 못하게 시설하우스의 측창 아래쪽으로 비닐을 30-45도 각도로 10-15cm 늘어뜨리면 응애가 침입을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도랑을 내어 물을 흐르게 하면 침입을 저지할 수 있다.

딸기는 튼튼한 뿌리의 묘를 만들기 위하여 4매 정도의 잎만 남기고 노화된 하위엽은 제거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잎 제거는 응애 방제에 효과가 있다.

제초제를 살포하면 식물이 고사됨과 함께 응애도 먹이가 없어 다른 곳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죽는다.

선선하게 시설 내 온도를 관리하면 점박이응애 발육이 지연되어 증식 속도가 떨어진다. 작물생육을 왕성하게 하면 점박이응애의 피해에 대한 견디는 능력이 높아져 피해를 다소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너무 춥게하거나 생육이 너무 왕성하면 과일생산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다.

 

(2) 천적이용 생물적 방제

자연환경에서 수많은 천적이 발생하며, 이들은 응애 밀도증식 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천적을 활용하면 농약사용이나 천적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포장에는 긴털이리응애, 서양이리응애, 6점박이총채벌레 등 토착 천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토착 이리응애가 없어 점박이응애의 피해가 예상되면 대량생산된 천적을 구입하여 방사하게 된다.

점박이응애의 천적으로는 칠레이리응애, 긴털이리응애, 사막이리응애, 지중해이리응애 등 포식응애와 꼬마무당벌레 등이 있다. 칠레이리응애는 포식력이 뛰어나 점박이응애 밀도를 떨어뜨릴 수 있으며 점박이응애 밀도가 떨어지면 다른 곳으로 이동한다. 점박이응애를 완전히 없앤 후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남긴 채 이동하여 다시 점박이응애 밀도가 높아질 수도 있어 예찰이 필요하다. 가장 잘 활동하는 온도는 15-27이다.

사막이리응애의 포식력은 칠레이리응애보다 떨어지지만 꽃가루도 먹고 살 수 있어, 먹이(점박이응애) 밀도가 떨어질 때 빨리 밀도가 감소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딸기에서 보온을 시작하는 10-11월 먹이(점박이응애) 밀도가 낮을 때 이 이리응애 방사는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점박이응애의 발생 조사를 주기적으로 하여 발생지점을 알 수 있을 때는 부분방사를 할 수 있으나 그렇지 못할 경우는 전 면적 방사를 한다. 부분방사란 발생지점에만 방사를 하여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지만 예찰을 잘 못하면 점박이응애 밀도가 높아진 후 방사를 하게 되어 오히려 방제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점 또한 있다.

점박이응애 방제에 가장 중요한 것은 천적방사시기이다. 점박이응애 밀도가 높을 때 방사하면 실패하기 쉬고, 밀도가 낮을 때 방사하면 성공 한다.

() 방사시기

점박이응애 발견 즉시 칠레이리응애를 1차 방사, 2주후 사막이리응애를 2차 방사, 4주후 칠레이리응애를 3차 방사한다. 피해가 예상되면 발생지점 중심으로 추가 방사를 한다.

() 방사량: 1(200)1병이다.

() 방사방법: 스티로폼 박스에서 이리응애가 들어 있는 제품()을 꺼내 2-3회 가볍게 흔들고, 병마개를 따고, 왼손으로 병을 들고 오른손 손바닥에 천적이 들어 있는 버미큐라이트를 약 5g씩 따르고, 걸어가면서 양쪽 두둑에 번갈아 버미큐라이트를 뿌린다.

() 예찰과 조치사항: 점박이응애가 발생하고 있나 수시로 관찰한다. 점박이응애가 발생하면 잎은 엽록소가 없어져 처음에는 흰점으로 보이고, 점차 여러 개의 흰점이 보이고 심하면 잎은 크지 못하고, 아주 심하면 거미줄이 보이고 잎은 말라버린다. 점박이응애가 처음 보이는 지점에 막대기나 표찰을 꽂아 표시해 놓고 이곳을 주기적으로 관찰하여 밀도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면 이 지점에 추가 방사를 한다.

() 주의사항: 천적을 방사 전, 후에 유기인계, 카바메이트계, 피레스로이드계 등 천적에 해로운 농약을 사용하면 천적이 살지 못하므로 천적에 안전한 농약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해충을 죽이는 친환경자재도 천적에 해로우니 사용해서는 안 된다.

(3) 약제방제

() 천적에 해가 적은 농약 사용

천적에 영향이 적은 카스케이드, 한터 등을 살포해야 한다. 천적에 해가 있다고 하더라도 긴급 방제가 필요할 때는 약효가 좋은 약제를 사용한다. 그러나 정기 방제는 가능한 천적을 보호 할 수 있는 약제를 사용하여 점차 약제방제 횟수를 줄여나가야 한다(2). 일반적으로 여러 종류의 해충을 한꺼번에 죽일 수 있는 약제는 천적도 해로울 가능성이 높다. 유기인계, 피레스로이드계, 카바메이트계 등 농약은 천적에 대한 해가 크고, 키틴합성저해제, 미생물 추출제 등은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2. 응애의 천적인 이리응애에 대한 농약의 독성 (농진청, 1988)

종류

이리응애에 해가 적은 약제

살충제

카스케이드, 한터, 비티제, 주론, 테프루벤주론, 트리무론,피리모, 훼녹시카프

살비제

카스케이드. 기계유제, 벤조메, 벤지란, 비스텐, 아미트, 에이카롤, 치아스, 테디온, 펜부탄, 프로지

 

 

() 약제저항성 관리

점박이응애는 농약에 대한 저항성이 잘 발달하는 해충으로 알려졌다. 농약에 대한 내성을 갖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첫째 농약 사용량을 줄여야한다. 경제적으로 피해가 염려 될 때만 농약을 살포함으로서 농약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발생 초기 방제에 힘쓰고 작용 기작이 다른 약제를 교호로 사용하도록 한다.

 

() 농약살포 방법

응애는 잎 뒷면에 서식하므로 잎 뒷면에 약액이 닿도록 충분하게 뿌려야 한다. 직접 약액에 접촉하지 않으면 응애는 죽지 않고 살아 증식한다. 응애의 피해가 있는 곳을 중점으로 살포해야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