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국 서원

전통을 계승하는 돈암서원 향사

by 仲林堂 김용헌 2013. 9. 18.

 

조선은 유교를 숭상하는 정치를 했다. 세상의 근본은 효에서 출발한다고 보았다. 부모에 효도하면서 잘 되지 않는 일이 없다고 보았다. 부모에게 살아 생전 공경하고 돌아가신 조상에도 잘 모시려 했다. 조상 숭배 중 첫째가 제사를 잘 모시는 것이다. 예절은 형식이라며 홀대하고 있는 현대사회라지만 예를 갖춤은 변함 없이 올은 길로 가는 첫걸음이 아닐 가?

사계 김장생 예학의 태두로 알려졌 있다. 그의 신위는 종묘에 모셔져 있고, 그...
가 후학을 가르쳤던 돈암서원에도 모셔져 있다. 그의 제자이며 아들인 신독재 김집, 사계의 제자인 우암 송시열과 동춘당 송준길도같이 돈암서원에 배향되어져 있다.

지난 토요일(14일) 돈암서원 추향사에서 본 사계 김장생 신위가 있는 제사 상이다. 돼지 머리가 있고, 생밤, 깐 은행, 대추, 조, 쌀, 정구지, 포(소고기 육포`가 제물로 차려져 있었다. 제사의 모든 절차는 홀기에 기록되어 500년동안 변함 없이 행해지고 있다.

요즘 시대가 빠른 속도로 변하면서 새로운것만 찾고 옛것은 멀리하고 있다. 조상들이 500년간 지켜왔던 예는 아무리 세상이 변한다고 해도 앞으로도 계속 지켜나갈 우리의 전통문화이며 기본적으로 갖춰야할 가치이다.

 

 제례에 참례 오신 분은 도착했다는 기록문서인 도기에 이름과 제례 부조금을 기록한다.

제례 행사 사흘 전에 제례에 참여하는 제관의 임무를 부여한 기록이 제관분정기이다. 맨 먼저 술잔을 올리는 분인 초헌고, 두번째 술을 올리는 아헌관, 3번째며 마지막 올리는 종헌관이 있고, 제례 사회자로 홀기를 창홀하는 집례, 축문을 읽는 축관, 3헌관을 안내하는 알자, 제사 음식을 제상에 놓는 진설, 술독에서 술잔에 따르는 사준, 향그릇을 옮기는 봉향, 향을 피우는 봉로,  잔을 받들어 올리는 분을 봉작, 감시하는 즉일이 있다.

 제사에 올리는 제관과 집사는 손을 씻는 물이다. 그릇이 참 깨끗하다. 나무상자는 수건을 넣는 상자이다.

 돈암서원의 장의며, 오늘 제례의 일직은 흰 두루마기를 입은 분이고, 가운데 책(홀기)를 보고 있는 분이 집례이다.

 손에 들고 책이 홀기이다. 홀기는 한문으로 제사에서 행하는 모든 행위를 한문을 기록된 책이다. 이 책을 읽는 것을 창홀이라고 한다. 제례는 집례가 홀기를 보고 창홀에 따라 제관과 집사는 행동을 하게 된다.

 일반 참배객이다. 집례는 일반 참례자를 학생이라고 부른다. 학생은 제례를 시작할 때 신위에 대한 인사로 재배(2번 절)하고 끝날 때 잘 가시라는 의미로 재배를 한다.

4분의 신위에게 올릴 술잔이다. 사준은 집사가 술잔을 들면 술을 술독에서 퍼 잔에 따른다. 4분게 초헌, 아헌, 종헌 3번 잔을 올리기 때문에 총 12개의 술잔이 있다.

 제물은 밤, 포(육포), 은행, 무, 부추, 돼기고기, 쌀, 조를 올린다.

초헌관이 무름을 꿇고 앉아 있고 가운데 있는 축관이 초헌관으로부터 비단인 폐백을 받아 다시 축관 에게 주려하고 있다. 좌측에서 손으로 가리키는 분은 알자이다. 제상의 양쪽에는 촛대가 있다. 그 가운데 큰 그릇은 옛 등잔이다. 등잔에 불을 피워 환하게 그릇 안쪽이 보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