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충의 형태, 생태, 방제

애못털진딧물의 모든 것, Chaetosiphon minus (Forbes)

by 仲林堂 김용헌 2014. 7. 30.

2-2. 애못털진딧물 (매미목 Homoptera: 진딧물과 Aphididae)

Chaetosiphon minus (Forbes)

 

전국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국부적으로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다.

 

형태: 몸길이 유시충 약 1.5mm, 무시충 약 1.6mm이다. 몸빛깔은 유시충이 황록색이고 머리와 가슴은 검은색이며 등면과 정수리는 연한 갈색이다. 거무스름한 옆무늬가 있고 뿔관과 끝조각은 연한 빛깔이다. 무시충은 연한 황록색, 촉각(더듬이)과 다리는 갈색 또는 연한 검은색이다. 무시충은 몸에 못털이 나 있고 제26더듬이 배마디의 못털은 뭉뚝하다. 뿔관은 비늘무늬가 있는 원기둥 모양이다. 끝편은 원뿔 모양이고 2쌍의 억센 털과 끝 센털이 있다.

 

2.2.1. 위에서 본 애못털진딧물 무시 성충

 

 

2.2.2. 측면에서 본 무시 성충

 

2.2.3. 유시 성충

 

피해: 딸기에 기생한다. 잎 뒷면에서 무리를 이루어 지내며 식물체의 수액을 빨아먹어 피해를 준다. 심하게 발생하면 그으름이 생기고, 배설물(감로)이 끈적거려 육안으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목화진딧물은 꽃받침, 꽃자루에 주로 발생하지만, 이 진딧물은 잎 뒷면에 주로 발생하는 차이로 구분할 수 있다.

 

생태: 약충기간은 9, 출산수는 29마리, 출산기간은 21, 수명은 33일이다.

 

 

2.2.4. 딸기 잎 뒷면에 집단으로 기생한 애못털진딧물

2.2.5. 확대하여 본 딸기 잎 뒷면에 집단 기생한 애못털진딧물

 

2.2.6. 진딧물 배설물이 곰팡이가 피어 그으름이 되었다.

 

 

2.2.7. 이 진딧물 피해를 받으면 진딧물의 감로가 묻어 그을음이 생기고 만지면 끈적거려 먼지 등이 잘 묻는다.

 

생물적 방제: 기생자로는 콜레마니진디벌은 효과가 없고 진디면충좀벌을 이용하거나 목화검정진디벌을 이용하여야 한다. 포식자로는 진디혹파리, 무당벌레, 풀잠자리, 꽃등에 등 일반 포식자가 있으나 이 중 진디혹파리가 비교적 효과가 높다.

이 진딧물의 천적인 진디좀벌, 진디혹파리, 무당벌레, 풀잠자리, 꽃등에 사진은 목화진딧물 사진에 있다.

 

2.2.8. 진디좀벌에 기생된 애못털진딧물 머미(좌측 흑색)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