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재 지킴(지정 미지정)

이야기가 있는 역사문화연구소, 수원 노송지대, 만석거 등 정조 능행길에서 환경 정화 및 모니터링 활동 실시

by 仲林堂 김용헌 2025. 3. 22.

노송지대에서 정화활동을 하고 있다.
회원들이 영화역 옛길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만석거 표석 주변 환경 정화 활동과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이야기가 있는 역사문화연구소(소장 김희태)22일 수원 노송지대, 만석거, 영화정, 만석거 표석, 영화역 옛길 등에서 환경 정화 및 모니터링을 했다.

 

노송지대는 정조 능행길의 옛 모습을 유추할 수 있는 중요한 현장으로, 지지대 고개부터 약 5km에 걸쳐 조성되어 있으며 현재도 일부 구간에 노송이 남아 있다. 또한, 정조의 권농 정책의 흔적을 엿볼 수 있는 만석거(萬石渠)는 장안문의 북쪽 황무지를 개간하여 만든 수리시설이다.

 

홍재전서에 따르면 대유평은 만석거가 축조 전에는 척박한 땅이었으나, 조성 이후 비옥한 땅이 되었다라고 했다. 만석거는 지난 2017년 세계 관계 시설물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만석거에는 신구 수원부사의 업무 인수인계를 했던 영화정(迎華亭)과 복원된 만석거 표석이 남아 있다. 또한, 『 화성전도 』 에서 영화역(迎華驛)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데, 영화역은 조선시대 통신과 물자 운송 기능을 담당했던 곳이다. 영화동의 지명은 영화역에서 유래했다.

 

김희태 소장은 능행차 재현은 서울부터 융건릉까지 매년 성황리에 열리고 있다. 오늘 답사한 노송지대, 만석거 일원 모니터링은 정조의 효를 엿볼 수 있는 의미 있는 지킴이 행사였다. 우리 연구소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국가유산지킴이 활동을 수행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야기가 있는 역사문화연구소는 20184월 개소 이후 국가유산지킴이 단체로 활동하고 있으며, 주요 사업으로는 국가유산지킴이 활동, 국가유산 조사 및 연구, 학술발표 및 공모사업, 영상 제작 및 저술, 강연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국가유산지킴이 활동과 관련한 문의는 이야기가 있는 역사문화연구소(031-893-3340)에서 받고 있다.

댓글